WHO 불안 확산 차단 나서
에볼라 바이러스 병 환자가 유럽대륙에서 사망한 뒤, 다시 확산되고 있는 에볼라 공포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직접 나섰다.
WHO는 14일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국가를 여행해도 감염자 체액을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 감염위험이 매우 적다’며 지나친 두려움을 갖지 말 것을 당부했다. WHO 전염병 대응 담당국장 이사벨 뉘탈 박사는 이날 스위스 제네바 유럽 유엔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는 공기를 통해 감염되지 않는다”며 “감염자 체액에 직접 접촉이 없으면 감염 우려가 매우 적은 이 병의 실체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고 밝혔다. 에볼라 전염 매개체가 되는 감염자의 체액은 혈액, 땀, 토사물, 설사분비물 등이다.
뉘탈 박사는 “에볼라 전염이 시작되는 것은 감염자에게 고열 등 증후가 나타난 이후”라며 “땀을 통한 전염도 환자가 통증을 느끼기 시작한 마지막 단계에서나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현실적으로 에볼라 감염자는 여행하기가 어렵고, 에볼라 감염 환자의 이동도 금지된 상태”라며 “대부분 국가가 공항에서 철저히 방역하고 있어 비행기에서 에볼라 감염 환자를 만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강조했다. 비행기로 발병국가에 여행을 가더라도 감염 위험성은 매우 낮다는 것이다.
아울러 “환자가 사망했을 때 에볼라 바이러스의 활동이 가장 활발해 시신을 직접 만지거나 씻기는 등 아프리카식 장례식을 전후해 전염 위험이 가장 높다”며 “이런 점을 고려해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 3개 국가 국경이 접하는 삼각주 일대 주민의 통행을 전면 금지했다”고 소개했다.
WHO는 그러나 에볼라 바이러스의 유행 기능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WHO는 이날 낸 성명에서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피해 규모가 상당히 과소평가됐다”며 “국제적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보고되는 에볼라 감염자와 사망자 수가 제대로 집계되지 않아 공식 발표보다 실제 피해 규모는 더 크다는 것이다.
한편 국제적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과도한 공포가 서아프리카의 경제에도 직격탄을 날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무디스는 “에볼라 발병으로 최소 1개월간 서아프리카 3개 발병국은 외부와의 교통과 교역량이 치명적으로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도 “실제로 대한항공이 케냐와 한국을 오가는 비행편을 중단했으며, (당초 7%로 예상됐던) 라이베리아의 경제성장률도 5.9%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조철환기자 chc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