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 비대위원장 인선 보완... 안경환 이상돈 '투 톱' 체제 승부수
당내선 "물타기에 불과" 반발 확산... 당사자들 모두 고사로 코너에
문재인 정세균 등 계파 수장들과 긴급회동... "민생현안 해결 후 비대위 구성"
새정치민주연합의 비상대책위원장 인선이 갈수록 태산이다. 박영선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12일 안경환 서울대 명예교수와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의 ‘투 톱’카드를 새로 꺼내들었지만 당내 반발 속에 두 명 모두 고사하면서 결국 무산됐다. 당내에서는 세월호특별법 협상에 이어 비대위원장 인선에서도 독단으로 흘렀다며 “비대위원장은 물론 원내대표도 사퇴하라”는 요구가 빗발쳐 박 원내대표의 거취마저 중대 기로에 서게 됐다.
朴, “안경환ㆍ이상돈 투 톱”… 본인들 고사로 무산
박 원내대표는 이날 아침회의까지만 해도 “외부인사 영입은 혁신과 확장이란 두 축으로 진행됐고, 그 결과 진보와 개혁적 보수 공동위원장 체제가 좋겠다는 결론을 냈다”며 안경환ㆍ이상돈 투 톱 체제로 비대위를 꾸리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2016년 총선과 2017년 대선 승리의 필요충분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자신의 비대위원장 거취와 관련해서는 “정기국회가 시작되면 내려놓겠다는 게 애초의 생각이었다”고 했다. 전날 불거진 비대위원장 인선 논란을 정면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가 분명했다.
박 원내대표 측은 투 톱 체제가 원래부터 추진됐던 방안이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 캠프에서 새정치위원장을 맡았던 안 교수에게 비대위원장직을 먼저 요청했고, 안 교수가 이에 “나 혼자 하면 ‘그 나물에 그 밥’이니 보수와 진보를 아우르자”며 이 교수를 추천하는 역제안을 해와 이를 토대로 영입작업을 진행했다는 것이다.
당내 일각에선 진보와 보수를 양 축으로 균형을 잡았다는 점에서 “이상돈 혼자는 안되지만 공동으로 가는 것은 괜찮지 않냐”는 일부 긍정적인 평가도 나왔다. 하지만 당내의 큰 흐름은 “이상돈 카드가 안 먹히자 뒤늦게 물타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었다. 특히 논란이 불거지기 전에 박 원내대표가 문재인 의원에게 비대위원장 인선 문제를 상의할 때만 해도 안 교수 관련 얘기가 없었던 터라 진작부터 투 톱 체제를 추진해왔다는 얘기는 앞뒤가 맞지 않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더구나 두 교수가 비대위원장직을 고사하는 바람에 박 원내대표에 대한 신뢰는 바닥으로 떨어졌다. 심지어 안 교수는 이날 “나는 적격자가 아니고 역량이 안돼 못하겠다는 입장을 오래 전부터 갖고 있었다”며 박 원내대표 측과는 다른 얘기를 했다. 당내 컨센서스를 강조했던 이 교수 역시 “이미 골든타임은 지났다”며 합류 가능성을 일축했다.
이에 박 원내대표와 문희상 정세균 김한길 박지원 문재인 등 각 계파 수장들은 이날 오후 따로 만나 안경환ㆍ이상돈 비대위 카드는 어렵다는 데 판단을 같이 하고, 지금은 세월호특별법 협상 등 민생현안에 당력을 모으고 추후 비대위 구성에 나서자는 데 합의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일부 의원들이 제기한 박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당의 위기를 심화시키고 세월호법 협상을 어렵게 할 우려가 있으므로 자제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사실상 박 원내대표가 비대위 외부인사 영입 카드를 접는 대신 원내대표직을 보장받으려고 일종의 ‘정치적 딜’을 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원내대표직 사퇴 요구 등 반발 확산일로
박 원내대표가 계파 수장들과의 회동 형식을 빌어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한 반발을 차단하고 나섰지만 실제 의도대로 될 지는 미지수다. 이미 당내에선 박 원내대표의 리더십이 재구축되기 어려울 것이란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 소속 의원 10여명은 긴급회의를 갖고 박 원내대표의 모든 당직 사퇴를 촉구했다. 3선 의원들을 주축으로 한 ‘혁신모임’도 원내대표 사퇴 의견을 전달했다. 박 원내대표의 최대 우군이었던 개혁성향의 초재선 의원들 사이에서도 원내대표직 사퇴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이번 파문을 겪으면서 당내에선 박 원내대표가 특정 언론사 출신 몇몇 측근들과만 상의한 뒤 통보하는 방식의 ‘독단적 비밀주의’에 대한 원성이 크다. 박 원내대표와 가깝다고 알려진 의원들조차 “또 한번 물을 먹었다”고 혀를 내두를 정도다. 한 핵심당직자는 “세월호특별법 협상 과정에서 두 번이나 저질렀던 잘못을 똑같이 반복하고 있다”면서 “세 번이라면 결코 실수라고 볼 수 없는 일 아니냐”고 직격탄을 날렸다.
물론 대안 없이 지도부를 공백 상태로 만들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러나 이 경우도 의원총회를 조속히 열어 원내대표 재신임 여부를 묻거나 비대위 구성 권한을 당무위에 넘기는 식으로 인선 파동을 초래한 박 원내대표에게 책임을 따져 물어야 한다는 전제를 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강윤주기자 kkang@hk.co.kr 임준섭기자 ljscogg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