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농악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9차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는 27일 한국의 농악(Nongak)을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올리기로 결정했다. 2011년부터 등재가 추진된 농악은 무형문화유산보호를 위한 정부간 위원회(한국 포함 24개국으로 구성)로부터 “활력적이고 창의적이며, 공연자는 물론 관람객의 참여까지 이끄는 등 문화정체성을 제공하는 유산”이라고 평가 받았다.
이로써 한국은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 판소리(2003), 강릉단오제(2005), 강강술래(2009), 한산모시짜기(2011), 김장문화(2013) 등 17건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문화재청은 내년 줄다리기, 2016년 제주 해녀문화의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이날 현장에 참석했던 박상미 문화재위원은 “농악은 관객이 참여한다는 점에서 유연성과 개방성을 가진 무형유산”이라며 “공연예술적 측면 못지 않게 오랜 세월 공동체 생활의 구심점이었던 농악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가치 역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농악의 세계화와 관련해 임돈희 무형문화재분과위원장은 “한국인이 전쟁과 가난을 극복하는 데 농악의 신명이 큰 힘을 준 것처럼, 이제 전쟁과 기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계인들에게 농악이 큰 힘을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등재 직후 한국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6개 농악 중 5대 농악(진주삼천포농악, 평택농악, 이리농악, 강릉농악, 임실필봉농악)으로 구성된 공연단이 현장에서 공연을 선보여 회의 참가자 800여명으로부터 환호를 받았다.
26일에는 북한의 아리랑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 정식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아리랑 민요(Arirang folk song)’로 북한의 무형유산이 유네스코 인류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처음이다. 한국의 아리랑은 2012년 ‘서정민요(Arirang, lyrical folk song)’라는 이름으로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됐다.
박주희기자 jxp938@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