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검증 실패 곽상도·홍경식 모두 임기 1년 못 채우고 사퇴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9일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박근혜정부 들어 민정수석 3명이 모두 불명예퇴진하게 됐다. 특히 공직기강 확립의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할 민정수석실이 이번엔 ‘정윤회 문건’ 유출 파문의 진원지로 지목되는 등 아예 논란의 중심에 섰다.
2013년 2월25일 박근혜정부가 출범한 뒤 임명된 민정수석들은 하나같이 임기를 1년도 채우지 못한 채 교체되거나 사퇴했다. 곽상도 초대 민정수석은 정부 출범 초기 장관(급) 인사들의 잇따른 낙마와 김학의 전 법무차관의 성접대 연루 사퇴 등 잇따른 ‘인사 참사’와 관련해 같은 해 8월 물러났다.
일각에선 곽 전 수석이 ‘국정원 댓글’ 정국에서 채동욱 당시 검찰총장을 충분히 제어하지 못해 경질됐다는 얘기도 나온다. 채 전 총장은 그 해 6월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수사에서 원세훈 전 국정원장에 대한 선거법 위반 기소 여부를 놓고 황교안 법무장관과 갈등을 빚었다.
후임인 홍경식 전 민정수석도 임명 10개월만인 지난해 6월 김 수석으로 교체됐다. 홍 전 수석도 표면적으로는 4ㆍ16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높은 상황에서 국무총리 후보자 2명의 연쇄낙마라는 헌정사상 초유의 상황에 대해 책임을 지는 모양새였다.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선 정윤회 문건이 같은 해 4월쯤 청와대 외부로 유출된 데 대한 책임을 묻는 차원에서 경질됐다는 얘기가 파다하다. 문건을 작성한 박관천 경정이 일선 경찰서로 사실상 좌천되고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마저 경질된 연장선상에서 홍 전 수석의 거취가 결정됐다는 것이다.
김 수석도 이날 사의를 표명함으로써 전임자와 마찬가지로 정윤회 문건 유출 파문의 후폭풍에 휩싸인 채 7개월만에 물러나게 됐다. 특히 민정수석실은 두 수석의 사퇴 과정에서 공직기강의 중심축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채 오히려 리더십 논란의 중심에 섰고, 급기야는 전현직 내부 인사들이 검찰 수사의 칼끝에 내몰리기까지 했다. 지난 2년간은 그야말로 ‘민정수석실 수난사’인 셈이다.
김현우기자 777hyunwo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