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삼성병원과 특별조사단 촉구도
삼성서울병원의 응급실 이송 요원(비정규직)인 137번 환자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증상이 나타난 후에도 환자 이송업무를 해온 것과 관련해 서울시는 삼성서울병원 내 비정규직 2,944명 전원에 대해 감염 증상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 보건복지부, 삼성서울병원, 시가 참여하는 공동특별조사단을 구성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서울시는 14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137번 확진 환자에 대한 대응은 삼성서울병원의 독자적 메르스 대응 실패를 증명한 것”이라며 “이제라도 조속히 정부가 적극 개입해 즉각적이고 단호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은 14번 환자와 관련해 총 3,571명의 접촉자를 관리하고 차단조치했지만 14번 환자로부터 감염된 환자는 72명에 이르고, 이중 삼성서울병원의 관리 명단에 없던 확진자도 34명이나 된다.
류경기 시 메르스방역대책본부 상황실장은 “삼성서울병원의 감염 관리가 응급실 환자, 의료진 등 병원 내부를 중심으로만 이뤄져 비정규직원, 환자 동행자, 병문안 방문자 등이 상당수 누락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시는 또 보건복지부ㆍ서울시ㆍ삼성서울병원 3자 협의체가 가동 중이지만 137번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은 12일에도 서울시에 정보공유가 되지 않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에 시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 일부 폐쇄에 들어간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전면 폐쇄 등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창보 시 보건기획관은 “삼성서울병원은 일정기간 메르스 환자 치료에 전념하는 전면 폐쇄 형태로 바뀔 가능성도 있다”면서 “이 경우 기존 환자를 이송해야 하고, 막대한 물량과 행정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서울시와 복지부, 삼성서울병원 등의 협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박원순 서울시장도 보건복지부, 서울시,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동특별조사단 구성을 정부에 촉구했다. 박 시장은 “삼성서울병원은 그동안 메르스 대응과 관련해 국가방역망에서 사실상 열외 상태였고 그것이 결국 큰 화를 불렀다”면서 “지금이라도 특별조사반을 만들어 전권을 넘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는 13일 밤 12시를 기해 35번 환자와 함께 재건축 조합총회에 참석한 1,565명에 대한 자가 격리 조치를 해제했다. 이들 중 12명이 기침과 같은 의심증상을 보였지만 검사 결과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손효숙기자 sh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