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공장식 식용 개 사육농장. 철창으로 된 뜬장에는 1,000여마리에 달하는 식용개들이 사육되고 있다. 뜬장 바닥에는 분뇨가 그대로 방치되어있을 뿐 아니라 죽은 강아지도 철장 안과 분뇨 위에 그대로 놓여 있다. 60㎥이상 규모의 개농장은 가축분뇨 처리 시설을 갖춰야 하지만 이곳은 분뇨처리 시설이 있는지 없는지 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개들에게는 음식쓰레기가 급여되고 있다. 동물보호단체 카라가 지방에 있는 한 공장식 개 사육농장을 조사한 결과다. 이 농장은 사료·폐기물 관리법을 위반했지만 그동안 이 같은 농장이 얼마나 있는지 파악조차 되지 못한 실정이다. 전진경 카라 이사는 “식용 개 농장의 분뇨로 인한 환경 피해를 막기 위해 60㎥이상 개 사육시설도 분뇨 처리 시설을 갖추도록 했지만 갖추지 않은 곳도 많다”며 “오히려 분뇨처리 시설 신고가 개농장의 합법시설 주장의 근거로 악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최근 환경부로부터 제출 받은 ‘전국적인 개 농장수와 경상북도(22개 시군별) 개사육 시설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개 농장은 1만 7,059곳으로 파악되며 사육중인 개는 200만 마리로 추정된다. 환경부의 조사는 심 의원이 환경부의 경북 ‘가축분뇨처리시설 설치 대상’조사 과정에 ‘개 농장 실태조사’를 요구해 진행된 것으로, 전국 통계는 지자체의 농가수를 대략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전국 개 농장 가운데 500마리 이하를 사육하는 개 농장은 1만6,558개, 500~1,000마리는 432개, 1,000마리 이상도 69개로 조사됐다.
우선 구체적인 조사가 진행된 경북의 경우 719곳에서 10만 마리 이상이 사육 중이었으며 10곳 중 4곳은 100~500마리, 1,000마리가 넘는 곳도 5곳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23%는 아예 가축분뇨처리시설 설치 신고를 하지 않고 개농장을 운영하고 있었다. 또 경북에서만 하루 216톤의 분뇨가 쏟아지고 있지만 이 중 25톤은 어디로 얼마나 흘러갔는 지 파악되지 않는 실정이다. 사육시설도 열악해 개 1마리 당 점유면적은 평균 2.4㎥에 불과했으며 가장 적은 면적은 0.3㎥로 조사됐다.
심상정 의원은 “개를 식용 목적으로 심지어 1,500마리까지 대규모로 공장식으로 사육하는 사례는 알려진 바 없다”며 “개 농장에 대한 전국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개 농장들이 가축분뇨처리시설 인허가와 처리시설부족 등과 관련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으며 개와 인간 공통전염병 관리, 위생관리 체계 등 정부가 나서 종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은경기자 scoopko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