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착 부위가 매우 긴 관상동맥질환을 치료할 때, 혈관 내 초음파를 활용하면 단순 혈관조영술을 이용했을 때보다 치료성적이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 없던 혈관 내 초음파의 임상적 의의와 역할을 대규모 임상연구로 규명한 것이 의의다.
홍명기ㆍ김병극ㆍ신동호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은 2010년 10월~2014년 7월 전국 20개 병원에서 관상동맥질환으로 스텐트 시술을 받은 1,400명을 대상으로 혈관 내 초음파 유용성을 연구했다. 환자들은 모두 약물 방출 스텐트가 삽입됐고, 심장 스텐트 길이가 28㎜가 넘는 만큼 관상동맥에 매우 긴 병변을 지니고 있었다.
연구팀은 대상 환자군을 통상 혈관조영술만 이용해 스텐트 시술을 시행한 그룹(700명)과 혈관 내 초음파를 이용해 스텐트 시술한 그룹(700명)으로 무작위 배정했고, 1년 간 추적 관찰했다. 특히 연구팀은 심인성 사망, 심근경색, 허혈에 의한 스텐트 삽입 부위 재시술과 같이 굵직한 환자 관련 변화 상황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혈관 내 초음파를 시행한 그룹이 단순 혈관조영술 시행 그룹보다 치료와 시술 후 환자가 보이는 예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인성 부작용은 혈관 내 초음파 시행 그룹에서 19명(2.9%), 혈관조영술 시행 그룹에서 39명(5.8%)이 발생했다. 이를 통해 혈관조영술 시행 그룹에서 심인성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이 혈관 내 초음파 시행 그룹보다 3배 정도 높았다.
특히 스텐트 삽입 부위에 재협착이 생겨 재관류술을 하는 경우에서 두 그룹은 큰 차이를 보였다. 혈관 내 초음파 시행 그룹은 17명(2.5%)만 재관류술을 받았지만, 혈관조영술 시행 그룹은 33명(5.0%)이 재관류술을 받았다. 스텐트 삽입 부위 재관류술 확률은 혈관 내 초음파 시행 그룹이 3.3배 정도로 현저히 낮았다.
심인성 사망과 심근경색 발병 항목도 혈관 내 초음파 시행 그룹이 다소 낮았지만 두 그룹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홍 교수는 “눈부신 관상동맥 시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관상동맥 협착이 매우 긴 병변의 스텐트 시술 성적은 아쉽게도 저조했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협착 부위가 긴 관상동맥질환 치료 시 혈관초음파를 적극 활용하면 더 안전하고 예후가 좋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 의학협회저널(JAMA)’ 최신호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