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친노(친노무현) 패권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며 탈당함에 따라 김 의원과 친노 진영의 악연이 새로 조명되고 있다. 양측은 언뜻 봐서는 협력 관계로 보였지만 고비 때마다 간격을 좁히지 못한 채 갈등을 빚어왔다.
양측의 갈등은 참여정부 출범 초기인 200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 의원은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미디어본부장을 맡아 홍보와 미디어를 총괄했고, 대선 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도 기획특보로 기용됐다. 그러나 인수위 출범 한 달 만인 2003년 1월말 김 의원은 청와대 정책기획수석 등 요직에 하마평이 오르내렸지만 “기득권을 버리겠다”며 공직에 나서지 않았다. 이를 두고 노 당선자 주변 386 인사들과 껄끄러운 관계 때문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김 의원은 2007년 대선을 앞두고 열린우리당을 탈당하는 과정에서 친노 진영과 되돌리기 힘든 감정의 골을 쌓았다. 그는 노무현 당시 대통령의 지지율이 바닥을 치는 상황에서 열린당으로 대선 전망이 희박하다고 판단해 22명 의원들과 함께 탈당해 신당을 만들었다. 당시 친노 인사들을 신당 참여에서 배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득세했고, 김한길계가 이를 주도한다는 인식이 파다했다.
2012년 대선을 앞둔 6월 김 의원은 친노 진영의 이해찬 의원과 당 대표 자리를 놓고 맞붙었다 0.5% 포인트 차로 졌다. 당시 ‘이해찬 당대표-박지원 원내대표’라는 이ㆍ박 역할 분담론을 둘러싼 공방이 치열했고, 김 의원은 이 과정에서 “패권적 계파정치로 줄세우기를 하려 했다”며 친노 진영을 몰아붙였다. 2012년 대선 때 문재인 후보는 김 의원에게 TV토론 준비 총괄역을 맡겼지만 김 의원의 무게감에 비해 역할의 비중이 떨어진다는 뒷말이 적지 않았다.
김 의원은 이날 탈당 선언문에서 “계파 이익에 집착하는 패권정치의 틀 속에 주저앉아 뻔한 패배를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거나 “패권정치와 싸우고 참고 견디는 동안 저도 많이 불행했다”며 친노 진영에 대한 반감을 숨김없이 드러냈다.
전혼잎기자 hoiho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