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눈의 수행자’인 현각 스님이 한국 불교를 강하게 비판했다. 하버드대학원 출신의 미국인으로 25년째 한국 불교와 인연을 맺고 있는 스님이 돌연 한국 불교와 인연을 끊겠다고까지 한 것은 실망감 때문이라고 한다.
스님의 생각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그가 지적한 것은 한국 불교의 유교적 관습, 남녀차별, 기복신앙, 물질만능주의 등이다. 스님은 “한국 선불교를 전세계에 전파했던 자리는 기복종교가 됐으며 기복은 곧 돈, 참 슬픈 일”이라며 불교의 기복신앙화를 비판했다. 또 “한국 승려 문화는 (젊은 불자들의) 고통을 함께하기보다 안락함을 누리고 게으르기까지 하다”며 “재가불자(신자)는 살아있지만 유교적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너무 조용하니 못된 승려 중심 불교가 고쳐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조계종 외국인행자교육원이 폐쇄된 것과 관련해서는 “주한 외국인 스님들은 오로지 조계종의 장식품”이라며 한국 불교의 배타성을 꼬집었다.
종교의 속성상 어느 정도 기복적 요소가 불가피하다는 반론도 있지만 스님이 지적한 불교의 물질주의와 전근대성 등에는 공감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지나친 불사는 물질주의와 외형주의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절집을 짓고 불상을 조성하는 등의 불사를 하지 않는 곳이 없고 이 때문에 사찰이 공사장으로 변했다는 소리마저 나올 정도다. 불사에 들어가는 비용 중 상당액이 불교 신자의 주머니에서 나오니 스님들이 수행이나 공부는 소홀히 하고 돈벌이에 매달린다는 비판이 나올 만하다. 파벌주의 또한 여전하다고 한다. 과거 조계종 총무원장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갈등과 분열이 많았고 심지어 폭력 사태까지 있었으니 파벌주의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아직 찾지 못했다면 실망스러운 일이다. 이런 스님들을 보고 “권력화됐다”거나 “중생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며 사찰에 발을 끊는 불교도도 적지 않다. 물론 어려운 이웃을 돕고 좋은 설법으로 신자들을 위로하는가 하면 진리를 구하기 위해 정진하는 스님도 여전히 많다. 그러나 지금처럼 물질주의와 세속적 이익에 탐닉하다가는 한국 불교가 큰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은 마당이다. 불교계는 현각 스님의 지적을 흘려 들을 게 아니라 엄격한 자기 쇄신의 계기로 삼아야 마땅하다.
더불어 개신교나 천주교 등 다른 종교 역시 자신을 엄격하게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외면한 채 기복에만 매달리며 삶과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는다면 종교는 설 자리가 좁아질 수밖에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