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우리말 톺아보기] 사이시옷 적는 법

입력
2016.08.02 13:54
0 0

사이시옷은 다음의 네 가지 원칙에 따라 적는다.

첫째, 사이시옷은 ‘촛불(초+불), 나뭇잎(나무+잎)’처럼 명사와 명사가 합쳐질 때만 쓸 수 있다. ‘해님’일까, ‘햇님’일까? ‘해’는 명사지만 ‘-님’은 접미사이므로 사이시옷이 나타날 환경이 아니다. ‘해님’이 맞다.

둘째, 사이시옷은 두 말 사이에서 소리가 덧나거나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변할 때만 쓸 수 있다. ‘위’와 ‘마을’이 합쳐지면 /ㄴ/이 덧나 [윈마을]이 된다. 그래서 ‘윗마을’로 적는 것이다. ‘위’와 ‘동네’가 합쳐질 때는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변해 [위똥네]가 된다. 그래서 ‘윗동네’로 적는 것이다. ‘위쪽, 위층’의 경우, 별다른 소리의 변화가 없으므로 사이시옷을 적을 수 없다. ‘윗쪽, 윗층’은 잘못이다. 이처럼 사이시옷은 소리와 직접 연관되어 있으므로 평소에 표준 발음을 잘 익혀 두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사이시옷은 두 말 가운데 순우리말이 하나 이상 있고 외래어가 없을 때에만 쓸 수 있다. ‘소수점(小數點)’은 [--쩜]으로 소리가 나므로 사이시옷을 쓸 만한 환경이지만 순전한 한자어이므로 사이시옷을 쓸 수 없다. ‘꼭짓점(--點)’은 [--쩜]으로 소리가 나고 ‘꼭지’가 순우리말이므로 사이시옷을 써야 한다. ‘만둣국’이나 ‘우윳빛’도 같은 이유로 사이시옷을 쓴다. ‘핑크빛(pink-)’도 뒷말이 된소리로 바뀌지만 ‘핑크’가 외래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쓸 수 없는 것이다.

끝으로,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는 순전한 한자어이지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적도록 하고 있다. 예외는 이 6개에 한정되므로 ‘전세방’이나 ‘기차간’을 ‘*전셋방’이나 ‘*기찻간’으로 적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대성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