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7명의 사상자를 낸 ‘해운대 교통사고’ 운전자가 뇌전증(腦電症ㆍ간질) 환자로 알려지면서 뇌전증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높아질까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뇌전증(epilepsy)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외부에서 악령에 의해 영혼이 사로잡힌다는 뜻으로 일반적인 질병보다는 영적이거나 초자연적인 질병으로 여겨졌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에서는 사회적 편견이 여전히 심하다.
뇌전증은 비정상적인 신경세포에 일시적으로 전류가 생겨 대뇌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병이다. 뇌졸중이나 뇌종양, 뇌감염, 두부외상, 뇌의 퇴행성 질환 등이 원인이다. 부분 발작은 현기증, 공포감을 느끼고 이상한 소리가 들리거나 섬광이 보이고 이후 팔 얼굴 다리 등이 떨리거나 저리며, 입맛을 다시고 손발을 떠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한다. 전신 발작의 경우 완전히 의식을 잃고 쓰러져 기억을 전혀 하지 못 한다.
뇌전증 유병률은 0.5∼1%. 100명 중 1명 정도가 앓는 비교적 흔한 질병이다. 연평균 13만 명 정도가 뇌전증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그러나 실제로 뇌전증 환자는 40만 명으로 추정된다. 사회적 편견으로 병원을 찾지 않는 환자가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이병인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신경과 교수(대한뇌전증학회 명예회장)는 "전체 뇌전증 환자의 최대 20%는 적극적인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라고 했다. 이 교수는 “뇌전증 환자의 50~60%는 약물치료로 정상인처럼 살 수 있고 나머지 20~30% 역시 항뇌전증 약제 복용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나 뇌전증 5명 중 1명은 난치성 질환에 해당하므로 현재로써는 완치 판정을 내릴 만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홍승봉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대한뇌전증학회장)는 “발작이 조절되지 않아 한 달에 1회 이상 의식을 잃는 중증 뇌전증 환자는 2만 명 정도”라며 “수술비(1,000만∼3,000만 원)가 많이 드는 데다 뇌졸중, 파킨슨병과 달리 정부 지원도 부족하다”고 했다.
실제 치매나 심장, 뇌혈관, 희귀 난치병 등 다른 중증 질환은 건강보험 진료비의 5%만 본인 부담이지만 뇌전증은 30∼40%를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게다가 뇌전증수술센터는 유지비를 감당하지 못해 현재 6곳밖에 되지 않아 수술을 받으려면 1년 정도 기다려야 한다.
이상암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전증 환자 5명 중 4명은 약물 치료로 조절이 가능하고 수술 받으면 80∼90%는 경련을 완전히 조절할 수 있다”라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