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아파트 탈출 바라던 세 가족의 꿈을 담다

입력
2016.08.29 04:40
0 0
경기 판교 주택가 초입에 자리잡은 도시채. 김창균 건축가의 네 식구와 처제네 세 식구, 장인 장모까지 총 9명이 함께 산다. 유타건축 제공
경기 판교 주택가 초입에 자리잡은 도시채. 김창균 건축가의 네 식구와 처제네 세 식구, 장인 장모까지 총 9명이 함께 산다. 유타건축 제공

한국 주택의 역사는 가족의 세포 분열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 대가족에서 핵가족, 다시 1인가구로 분화하는 풍경의 전면에는 ‘간섭 금지’라는 글자가 선명하게 박혀 있다. 그러나 피보다 진한 물을 찾는 일이 쉽지는 않은 모양이다. 급하게 아이를 맡겨야 하는 맞벌이 부부가 가장 먼저 전화를 거는 이는 친정 엄마고, 독립을 선언한 30대 남녀의 냉장고엔 못 이긴 척 받아 든 본가의 김치가 있다.

지난 봄 판교에 들어선 주택 ‘도시채’는 삼대가 모여 사는 집이다. 이 집의 건축가이자 건축주인 김창균 소장(유타건축)은 아내와 두 아들 도윤ㆍ시윤, 처제 부부와 그 아들 채윤, 그리고 장인ㆍ장모까지 총 9명이 함께 사는 집을 지었다.

문을 열었을 때 거리에서 내부가 환히 들여다 보이는 게 싫어 테라스 안쪽으로 현관을 깊숙이 넣었다. 위쪽 철제 구조물에는 나중에 타프를 설치할 계획이다. 유타건축 제공
문을 열었을 때 거리에서 내부가 환히 들여다 보이는 게 싫어 테라스 안쪽으로 현관을 깊숙이 넣었다. 위쪽 철제 구조물에는 나중에 타프를 설치할 계획이다. 유타건축 제공

“보증금 8,000만원 올려 달라”

시작은 보증금 인상 요구였다. 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전세로 살던 김 소장은 지난해 봄 집주인에게서 전세 보증금을 “8,000만원 올려달라”는 말을 들었다. 눈 앞이 캄캄했으나 한편으론 기회라는 생각이 들었다. “언젠가 내 집을 짓겠다는 생각이 있었어요. 건축주들에게 늘 집은 삶을 담는 그릇이라고 설파하면서 정작 전 아파트에서 살던 게 마음에 걸렸거든요.”

마침 판교에 설계를 진행 중이던 김 소장은 인근에 70평 남짓 비교적 저렴하게 나온 땅이 있다는 걸 알고 있었다. 동쪽으로 용인서울고속도로가 지나는 주택가의 초입이었다. 김 소장은 아내와 상의한 뒤 서울에 각자 떨어져 살고 있는 장인ㆍ장모, 처제 부부에게 집을 지어 다 같이 사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첫 번째 이유는 물론 경제적인 거였죠. 하지만 같이 사는 삶에 대한 선입견을 깨고 싶은 마음도 있었어요. 공간을 영리하게 나누면 불편함보다 좋은 점이 더 많을 수 있거든요. 다행히 세 가족이 흔쾌히 동의했습니다.”

건축가의 로망이었던 서재 겸 작업실. 폴딩도어를 설치해 활짝 열면 1층 테라스와 연결된다. 유타건축 제공
건축가의 로망이었던 서재 겸 작업실. 폴딩도어를 설치해 활짝 열면 1층 테라스와 연결된다. 유타건축 제공
서재의 폴딩도어를 연 모습. 아이들이 테라스에서 노는 동안 아빠는 일을 하며 아이들을 볼 수 있다. 유타건축 제공
서재의 폴딩도어를 연 모습. 아이들이 테라스에서 노는 동안 아빠는 일을 하며 아이들을 볼 수 있다. 유타건축 제공

세 집의 뜻이 모인 뒤에는 보증금과 공사비의 시간 싸움이었다. 먼저 대출을 받아 땅을 산 뒤 김 소장 집의 전세보증금으로 초기 공사비를 대고, 장인ㆍ장모 집의 보증금으로 중도금을, 마지막으로 처제네 집 보증금으로 잔금을 치렀다. 공사 막바지 한 달 반 정도는 1.5룸 구조의 처제네 집에서 아홉 식구가 살기도 했다.

집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김 소장은 가족 구성원 전체를 인터뷰했다. 현관문이 두 개까지만 허용되는 지역이라 두 채로 나누는 건 바꿀 수 없지만, 그 안에서 가능한 모든 요구를 수용하고자 했다. 장모는 김장을 담그고 작게나마 화초를 가꿀 수 있는 마당을, 장인은 부인과 채널 다툼을 하지 않아도 되는 TV실을 원했다. 각종 아웃도어와 레포츠를 섭렵한 처제 부부는 장비를 보관하고 가끔 캠핑도 할 수 있는 옥상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소장네는 잠시도 엄마, 아빠를 가만히 두지 않는 개구쟁이 아들들을 위한 놀이터이자 건축가의 오랜 로망인 서재를 갖춘 공간이어야 했다. 각양각색의 꿈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으려면 건축면적 117.48㎡(35.5평) 안에서 마법이라도 부려야 할 판이었다.

아파트 탈출! 가족의 필요를 담아라

2층 거실에서 두 아들의 침실로 통하는 문. 하나로 터도 되는 공간을 굳이 여러 개로 쪼개 놓아 아이들이 공간을 탐험하듯 경험할 수 있다. 유타건축 제공
2층 거실에서 두 아들의 침실로 통하는 문. 하나로 터도 되는 공간을 굳이 여러 개로 쪼개 놓아 아이들이 공간을 탐험하듯 경험할 수 있다. 유타건축 제공
2층 거실과 다락. 거실은 공부방이자 놀이터로, 이렇게 용도를 특정하지 않은 공간이 양쪽 집을 합쳐 총 10개가 있다. 유타건축 제공
2층 거실과 다락. 거실은 공부방이자 놀이터로, 이렇게 용도를 특정하지 않은 공간이 양쪽 집을 합쳐 총 10개가 있다. 유타건축 제공

“땅콩집처럼 양쪽이 똑 같은 구조로 된 집은 싫었어요. 모처럼 아파트와 빌라에서 탈출했는데 가족이 원하는 그림이 고스란히 담긴 공간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한 쪽엔 김 소장네 네 식구가, 다른 한쪽엔 처제네 세 식구와 장인ㆍ장모가 자리 잡았다. 먼저 할 일은 두 집을 적당히 떨어뜨리는 동시에 적당히 연결하는 것이다. 두 집은 각각 독립된 현관문을 가지지만 1층의 다용도실을 통해 내부에서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떨어져 살 때 김치와 고향에서 올라온 특산물을 가져다 주던 장모의 동선이 서너 걸음으로 줄어든 셈이다. 지하실도 연결할 수 있었지만 공간의 독립성을 살리기 위해 그대로 뒀다. 한쪽은 아이들 놀이터, 다른 한쪽은 홈시어터를 갖춘 장인의 미디어룸으로 꾸몄다.

내부 구조의 특징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아파트와 정반대’다. 김 소장은 큰 아들이 유치원 친구들에게 자랑처럼 말하는 “우리 집엔 거실이 10개야”가 이 집에 대한 가장 정확한 설명이라고 했다. “이전엔 아이들 사이에서 브랜드 아파트가 자랑거리였다고 해요. ‘래미안에 산다’고 하면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는 거죠. 지금은 다릅니다. 아이가 친구들에게 평상에서 책을 봤다, 지하실에서 미끄럼틀을 탔다고 하면 눈이 휘둥그래진대요.”

이런 거실이 가능한 비결은 거실의 의미를 재정의하는 것이다. 김 소장은 침실, 다용도실 등 문 달린 방을 제외한 모든 공간을 거실이라 부른다. 주방도, 공부하는 곳도, 다락도 모두 거실이다. 곳곳에 분산된 크고 작은 거실들은 단차를 통해 한층 복잡하고 풍성해진다. 현관에서 계단 3개를 오르면 주방이 나오고 작은 거실에서 계단 3개를 오르면 좀 더 큰 거실로 연결되는 구조는, 큰 거실 하나를 방들이 둘러싸고 있는 아파트 구조와 대조적이다. 아이들에게 이 계단은 타 넘고 기대 앉는 놀이기구이자 공간을 다차원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교보재다.

“설계 의뢰 40% 두 가구 이상 거주 주택”

김 소장은 “거실이 집의 중심에 놓이는 아파트 구조”가 상상력을 제한한다고 경계했다. “거실의 역할을 집안 여기저기 나눠 놓으면 구성원들은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공간을 변형해서 사용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상상력이 자극됩니다. 외부와 접하는 지점도 훨씬 늘어나고요.”

1층 현관에서 계단 3개를 오르면 주방으로 연결된다. 한층 안에서 단차를 나눠 공간이 한층 복잡하고 풍성해졌다. 유타건축 제공
1층 현관에서 계단 3개를 오르면 주방으로 연결된다. 한층 안에서 단차를 나눠 공간이 한층 복잡하고 풍성해졌다. 유타건축 제공
1층의 주방 겸 거실. 왼쪽 끝에 보이는 문을 통해 장인 장모의 집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타건축 제공
1층의 주방 겸 거실. 왼쪽 끝에 보이는 문을 통해 장인 장모의 집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타건축 제공

도시채는 한적한 주택가에 위치해 사생활 침해 없이 바깥을 감상하기 힘든 환경이다. 그러나 주택의 묘미는 “외부를 끌어들이는 것”이라는 김 소장은 사선으로 잘린 모퉁이 땅을 적극 활용해 그들만의 바깥을 조성했다. 법규상 사각형 대지의 양쪽 끝이 사선으로 돼 있으면 거기에 집을 딱 맞게 붙여야 하는데, 그 사선을 따라 외벽을 쌓은 뒤 집과 외벽 사이 뜨는 공간에 데크를 깔아 작은 외부공간을 만든 것이다. 한 뼘짜리 마당에는 테이블도 놓고 장독대도 놓았다. 무엇보다 좋은 건 1층 실내에 머물 때 행인과 눈을 마주치지 않고 바깥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입주한 지 한 달 반, 가장 먼저 표정이 바뀐 이는 장인, 장모와 아이들이다. 젊은 사람들이 일하러 나가면 도윤, 시윤, 채윤은 자연스럽게 할머니 손에 맡겨진다. 주말엔 온 가족이 가까운 공원으로 산책을 가기도 한다. 따로 살 때 손해 봤던 게 경제적인 것만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깨닫는 중이다.

“주택 의뢰 중 40% 정도는 두 가구 이상이 함께 사는 집을 지어 달라는 거예요. 경제적인 문제, 아이들의 사회성, 노년 세대의 외로움 등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런 집이 꾸준히 늘지 않을까 합니다.”

사선으로 잘린 지형을 이용한 외부공간. 간단한 야외활동을 즐기거나 내부를 바깥의 시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유타건축 제공
사선으로 잘린 지형을 이용한 외부공간. 간단한 야외활동을 즐기거나 내부를 바깥의 시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유타건축 제공
주택가 초입에 자리한 도시채. 양쪽 사선으로 잘린 지형을 확인할 수 있다. 유타건축 제공
주택가 초입에 자리한 도시채. 양쪽 사선으로 잘린 지형을 확인할 수 있다. 유타건축 제공

황수현 기자 sooh@hankookilbo.com

판교 도시채 종단면도.
판교 도시채 종단면도.
판교 도시채 평면도.
판교 도시채 평면도.

건축개요

대지위치: 경기 성남시 분당구

대지면적: 235.30㎡

건물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건축면적: 117.48㎡

연면적: 294.79㎡

건폐율: 49.93%

용적률: 88.69%

최고높이: 9.85m

구조: 기초+지하–철근콘크리트조/ 지상-경량목구조

설계 김창균, 조상은, 배영식(유타건축사사무소)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