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소. 그렇다면 최종 액수를 말해 보시오.”
“무상 3억 달러에 대외협력기금 3억 달러, 그리고 민간경제협력(상업차관) 1억 달러에 플러스 알파가 우리 정부 요구요.”
“이거 참 곤란한데... 그렇다면 독도 문제는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겠소.”
1962년 11월 12일 오후 3시 일본 도쿄 외무성 별실. 한일 양국을 대표한 김종필 중앙정보부장과 오히라 마사요시 일본외상은 한국의 대일 전쟁 배상 등에 대한 청구권을 두고 세 시간째 줄다리기를 계속하고 있었다. 김종필은 마음이 급했다. 10월 21일 열렸던 1차 회담도 돈 문제로 결렬된 터였다.
“독도는 미국이나 제3국의 중재에 맡기기로 하고 메모나 교환합시다.”
합의에 따라 장관실의 메모지가 책상 위에 놓였다. 훗날 한일협정의 단초가 된 김종필,오히라 메모가 4시간 여의 마라톤 협상 끝에 이 날 작성된 것이다. 무상원조 3억 달러와 유상원조(해외협력기금) 2억 달러, 그리고 민간차관 1억 달러 등의 내용이었다. 배상 청구권 문구는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고 독도 문제 또한 모호한 결론으로 마무리 됐다.
이날 합의는 한국 사회에 커다란 저항을 불러 일으켰다. 턱없이 낮은 전쟁 배상금과 주권을 망각한 대일 굴욕외교의 상징으로 낙인 찍힌 김부장은 이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외유를 떠나야만 했다.
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는 산업화를 위한 돈이 필요했고 이를‘청구권’ 명목으로 일본으로부터 받아내기로 결심했다. 이듬해 11월 12일의 김종필, 오히라 비밀회담과 메모는 결국 65년 한일수교로 이어지는 단초가 됐다.
54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김종필 전 부장은 와병 중이고 오히라 외상은 80년 총리 재임 중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반 세기가 흘렀어도 위안부 협상 등 한일 정부 간 졸속 합의는 아직도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손용석 멀티미디어부장 stones@hankookilbo.com/그림 1 김종필-오히라 메모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