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 물질이 ‘심장 탓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대기오염 농도가 짙은 겨울에 이런 경향이 더 뚜렷한 것으로 조사됐다. 심장 탓 뇌졸중은 심방세동과 같은 심장질환으로 인해 생긴 혈전이 뇌혈관을 막아 생기는 것을 말한다.
방오영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와 배희준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뇌졸중으로 전국 12개 의료기관에서 치료받은 환자 1만3,535명(평균 나이 67.8세, 남성 58.5%)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뇌졸중 국제 학술지 ‘Stroke’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이들 환자가 병원을 찾기 직전 1주일 동안 주거지 기준 대기오염 정도를 파악해 뇌졸중 발생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여러 뇌졸중 중에서도 심장 탓 뇌졸중이 대기오염과 관련 있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대기오염 물질 가운데 미세먼지(PM 10)와 이산화황(SO2)이 심장 탓 뇌졸중과 직ㆍ간접적 영향을 끼쳤다. 나머지 유형의 뇌졸중은 이번 연구에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미세먼지의 경우 대기 중에서 10㎍/㎥이 증가할 때 마다 5%씩, 이산화황의 농도는 10 ppb 상승할 때 마다 57%씩 각각 심장 탓 뇌졸중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심장 탓 뇌졸중의 발병 경향은 계절과도 관련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세먼지와 이산화황 농도가 높은 겨울(24.3%)과 봄(23.7%)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심장 탓 뇌졸중이 전체 뇌졸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밖에 거주 지역도 심장 탓 뇌졸중에 영향을 미쳤다. 인구 4만 명 이하 시골 지역에서 대기오염이 가장 낮았으며 뇌졸중에서 심장 탓 뇌졸중이 차지하는 비율도 가장 낮았다. 하지만 중소도시의 경우 대기오염이 가장 심했으며, 심장 탓 뇌졸중도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 물질이 심박수나 부정맥 등 심혈관계 전반에 걸쳐 유해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방 교수는 “심장 탓 뇌졸중은 심한 후유 장애가 남는 경우가 많으며 노년층의 삶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라며 “이번 연구결과는 이런 뇌졸중을 예방하려면 환경 요인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