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비만군선 발병률이 3.8배
콩팥병 검진율은 4%에 불과
기능 30%로 떨어져야 발견
“뚱뚱할수록 만성 콩팥병에 걸릴 위험이 아주 높아진다.”
대한신장학회가 세계 콩팥의 날(3월 9일, 매년 3월 둘째 주 목요일)을 맞아 국민건강영양조사(2015년)를 분석한 결과에서다.
체질량지수(BMI) 35.0 이상인 초고도비만군에서 만성 콩팥병 가능성이 25.2%로 정상체중군(6.7%)보다 3.8배나 높았다. BMI는 몸무게(㎏)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것으로 18.5~23.0이 정상이다. 정상체중과 함께 과체중(23.0~25.0), 비만(25.0~30.0), 고도비만(30.0~35.0), 초고도비만(35.0 이상) 등으로 분류한다. 만성 콩팥병 유병률은 비만군 8.5%, 고도비만군 11.9%로 뚱뚱할수록 가파르게 늘었다.
올해 세계 콩팥의 날 주제(‘콩팥병과 비만’)에 맞춰 이번 조사가 이뤄졌다. 만성 콩팥병(만성 신부전)은 3개월 이상 콩팥이 손상돼 있거나 콩팥 기능이 계속 떨어지는 상태로, 오줌에 피나 단백질 등이 섞여 나오기도 한다.
초고도 비만, 만성콩팥병 3.8배↑
비만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만성 콩팥병을 일으키는 주 원인으로 꼽힌다. 세계신장학회지는 최근 비만이 만성 콩팥병 발병을 정상체중보다 36% 높인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조상경 대한신장학회 홍보이사(고대안암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비만에 흔히 동반되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은 만성 콩팥병 발병과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며 “비만인 경우 정기적으로 만성 콩팥병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콩팥병 검진율은 매우 낮았다. 학회가 500명을 조사한 결과, 콩팥병 검진을 받은 이는 4%에 불과했다. 조 이사는 “국가건강검진에 만성 콩팥병 진단 검사항목이 포함돼 있는데 이를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했다.
검진율은 크게 떨어지는 만큼 콩팥병의 치료비 부담도 아주 높다. 문주영 강동경희대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콩팥은 기능이 30% 정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많이 발견된다”고 했다. 만성 콩팥병 환자는 16만 명 정도인데 전체 진료비가 1조5,671억 원(2015년)으로 전체 질환 가운데 고혈압에 이어 진료비가 높은 질병 2위였다.
혈액ㆍ소변검사로 쉽게 알아내
콩팥 이상은 혈액검사와 소변검사로 간단히 알 수 있다. 소변검사에서 혈뇨나 단백뇨가 나오면 사구체 질환 등의 검사를 추가로 한다. 혈액검사에서는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 사구체 여과율을 계산하게 된다.
콩팥이 사구체를 통해 노폐물을 얼마나 잘 청소하는 지 알려주는 값이 바로 사구체 여과율로, 이 사구체 여과율에 따라 만성 콩팥병을 1기부터 5기까지 구분한다.
콩팥이 건강하면 사구체에서 혈액이 잘 여과돼 혈액 속 노폐물(크레아티닌) 농도가 매우 낮게 유지되고, 반대로 콩팥 기능이 나빠지면 사구체 여과율도 떨어져 혈액을 잘 걸러내지 못해 크레아티닌 농도가 높아진다. 송호철 부천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정상인은 사구체 여과율이 120㎖/분으로 하루 약 172ℓ(1.5ℓ 페트병 약 115개)나 되는 혈액이 사구체를 통해 걸러진다”고 했다.
김용수 대한신장학회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은 “콩팥은 한 번 나빠지면 원래 상태로 회복하기 어렵다”며 “말기가 되면 치료법도 투석이나 이식밖에 없으므로 치료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려면 조기 검진해야 한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만성 콩팥병 단계>
<만성 콩팥병 예방ㆍ관리 수칙>
1. 만성 콩팥병은 특별한 증상이 없으므로 평소 관심을 갖는다.
2. 거품뇨나 붉은 소변을 보고, 몸이 붓는다면 진료를 받는다.
3. 단백뇨 혹은 혈뇨가 있고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졌다면 추가 검사한다.
4. 만성 콩팥병 위험인자(당뇨병, 고혈압, 가족력)가 있으면 정기 검진한다.
5. 당뇨병ㆍ고혈압이 있다면 철저한 생활관리와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6. 만성 콩팥병 환자는 의사ㆍ영양사 지도를 받아 영양관리한다.
7. 만성 콩팥병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1일 염분 섭취량을 지킨다.
8. 만성 콩팥병 환자는 신장내과 전문의와 상의 후 약을 먹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