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권(독립다큐멘터리 배급사 시네마달 대표·‘다이빙 벨’, ‘강정’ ‘두개의 문’ 등 배급)
“이전 정부는 멀티플렉스에 외압을 가해 특정 영화, 영화사를 시장에서 고사, 배제시키는 정책을 썼다. 시네마달도 폐업 위기를 겪었고, 다른 배급사도 어렵게 운영된다. 창작자들은 영화계를 떠나고 있다. 블랙리스트가 문화의 한 영역을 말살시킨 건데, 그걸 건강하게 회복시키는 게 차기 정부의 과제다. 일방적 시혜가 된다면 화이트리스트가 될 수 있다. 동등한 주체로 정부와 현장 제작자들이 대화해야 한다. 그동안 독립영화 지원 정책은 모양새를 갖추는 수준에 그쳤다. 그 누적 결과가 블랙리스트 문제로 불거졌다고 생각한다. 독립예술영화를 실질적으로 진흥하기 위한 독자기구 설립도 고려해볼 만하다.”
▦강석필 다큐멘터리 감독 (‘소년, 달리다’, ‘춤추는 숲’ 연출)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 고위 공무원을 만났는데 ‘정부 비판하는 영화가 세금으로 만들어진 지원금을 받는다는 발상 자체가 문제 아니냐’고 하더라. 그런 생각을 아주 떳떳하게 밝히는 걸 보고 놀랐다. 공무원들은 정권 비판은 공익과 먼 것이고, 정부 정책만 공익이라는 편향된 사고가 있다. 정도 차이는 있지만 이명박 정부 때도 참여정부, 국민의정부 때도 있었다. 비판도 지지도, 사회의 문화를 풍성하게 만드는 것이라 생각했으면 한다. 과거에 ‘영화 ‘쥬라기공원’이 자동차 몇 대 판 이익보다 크다’ 이런 분석이 쏟아졌다. 경제적 측면에서 문화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논리인데, 이것도 맥락만 다를 뿐 본질적인 사고는 블랙리스트와 같다. 수치화된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지원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니까. 블랙리스트, 경제 효과 이 두 판단이 결합돼 영화진흥위원회의 예술영화전용관 지원사업이 폐지됐다. 그때 정부 논리가 ‘돈 먹는 하마, 자립하게 해야 한다’였다. 문재인 정부 임기 기간 성과 위주 정책 말고 장기적으로 필요한 걸 골라 꾸준히 지원해야 한다.”
▦염종선 출판사 창비 이사(소설 ‘소년이 온다’, 구술집 ‘금요일엔 돌아오렴’ 등 출간)
“세월호 참사 관련 책을 내고, 정부 지원이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 정권이야 모든 걸 좌우로 본 게 문제 아닌가. 일하기 보다는 좌우 편갈라 싸우게 하고. 실사구시의 태도로 문화정책을 세워주길 바란다. 원칙만 바로 세워줬으면 좋겠다. 다만 지원사업에서는 시장의 관점을 버려달라 하고 싶다. 문화의 관점에서 출판계를 볼 때 밑바탕이 단단해질 것이다.”
▦정문식 밴드 여섯 개의 달 리더(홍우주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다른 영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도구로 문화예술을 갖다 쓰는 정책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창작물을 산업 콘텐츠로만 보는 시각으로는 근본적으로 문화예술 생태계 기반을 단단히 할 수 없다. 중요한 건 예술교육 활성화다. 일반적인 공교육 시스템 안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원하는 문화예술 활동을 하고,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어릴 때부터 문화예술을 체험하고 본인의 취향을 발견할 수 있어야 사회 전반의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 감수성이 높아진다. 정규교육 안에 문화예술 과목이 포함돼 예술인들이 교사로 활동하게 되면 경제 조건 개선에도 도움이 될 거다.”
양승준 기자 comeon@hankookilbo.com
김표향 기자 suza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