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임란 때 쏜 대포 화살 국내 첫 공개
알림

임란 때 쏜 대포 화살 국내 첫 공개

입력
2017.07.24 13:15
0 0

국립진주박물관, ‘정유재란 1597’ 특별전 개최

천자총통(天字銃筒)에 사용한 대장군전(大將軍箭)

왜장 구키 요시타카(九鬼嘉隆)의 후손이 소장

임진왜란 때 조선 수군이 사용한 대장군전(왼쪽)과 대장군전에 남아 있는 글씨 ‘가리포 상 김등 조(加里浦 上 金等 造)’. 국립진주박물관 제공
임진왜란 때 조선 수군이 사용한 대장군전(왼쪽)과 대장군전에 남아 있는 글씨 ‘가리포 상 김등 조(加里浦 上 金等 造)’. 국립진주박물관 제공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이 왜군을 물리치기 위해 사용한 대포 화살 ‘대장군전(大將軍箭)’이 약 420년 만에 일본에서 고국으로 돌아와 처음 공개된다.

국립진주박물관은 정유재란 7주갑(420년)을 맞아 25일부터 10월 22일까지 개최하는 특별전 ‘정유재란 1597’에서 왜장 구키 요시타카(九鬼嘉隆, 1542∼1600)의 후손 구키 다카쿠니(九鬼隆訓)의 협조를 얻어 대장군전을 전시한다고 24일 밝혔다.

대장군전은 조선 화기인 천자총통(天字銃筒)에 사용한 화살. 국내에는 임진왜란 때의 대장군전이 한 점도 남아 있지 않다. 이번에 공개되는 대장군전은 왜장 구키 요시타카가 가져갔던 유물로 일본에서 1966년 공개된 후 수장고에서 잠자고 있었다.

서애 류성룡이 임진왜란을 겪은 뒤 쓴 ‘징비록’. 국립진주박물관 제공
서애 류성룡이 임진왜란을 겪은 뒤 쓴 ‘징비록’. 국립진주박물관 제공

대장군전의 몸통 길이는 182㎝, 최대 지름 9.4㎝, 무게는 10.6㎏이다. 머리 쪽에 박았던 철촉은 사라지고 없다. 철촉이 10㎝ 내외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 길이는 192㎝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재질은 남해안과 제주도 등지에서 자라는 가시나무다.

최영창 국립진주박물관장은 “이 대장군전은 구키 요시타카가 전리품으로 가져가 후손들이 대대로 보관해 온 유물”이라며 “몸통 중간에 ‘가리포 상 김등 조(加里浦 上 金等 造)’라는 글씨가 해서체로 적혀 있는데, 가리포는 전남 완도에 설치됐던 수군 첨절제사진(僉節制使鎭)이 있던 장소로, 이곳의 장인인 김씨 등이 만들어 진상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전시에서는 대장군전 외에도 서애 류성룡이 임진왜란을 겪은 뒤 쓴 ‘징비록(懲毖錄ㆍ국보 제132호)’, 충무공 이순신이 선조로부터 받은 ‘이순신선무공신교서(李舜臣宣武功臣敎書)’ 등 유물 150여점을 만날 수 있다. 전혜원 기자 iamjh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