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경호원 과도한 제지로 취재 방해
靑 경호처 미숙한 대응도 사건 키워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 중 발생한 중국 측 경호원들의 국내 취재진 폭행 사건은 청와대 경호처와 중국 공안 간 사전 협의에 맞춘 정상적 취재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때문에 중국 측 경호원들의 과잉 대응과 청와대 경호처의 대응 미숙이 사건을 키운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14일 사건 발생 직후 청와대 경호처 관계자는 “행사 시작 전 문 대통령 주변 3m 이내로 (기자들이) 들어 오지 않는 한 취재진의 활동을 보장해 달라고 공안 측에 요청했다”며 “공안도 이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폭행을 당한 국내 사진기자 두 명 역시 청와대출입사진기자단을 대표해 문 대통령을 현장 취재 중이라 국내에서처럼 과열 경쟁을 벌이는 상황도 아니었다는 게 현장 관계자들의 증언이다. 오히려 사건 현장에 있던 한 국내 취재기자는 15일 “중국 측 경호원의 과도한 제지로 3m는 고사하고 문 대통령의 발언을 들을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까지도 접근이 불가능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때문에 경호처와 공안 간 취재동선에 대한 협의 내용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섭외한 중국 사설 경호업체에 제대로 통지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당시 현장을 목격한 한 관계자는 “당시 현장이 복잡하기도 했지만, 애초부터 비표를 차고 있는 취재진에 대한 배려는 전혀 없어 보였다”며 “1차로 피해를 입은 사진기자의 경우 문 대통령이 지나간 다음이라 과도한 경호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었음에도 중국 측 경호원들이 폭력까지 행사했다”고 말해 이 같은 가능성을 뒷받침 했다.
경호처 역시 사건 발생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할 전망이다. 중국 측과의 취재 동선 협의 주체가 경호처였고, 사건 발생 전날부터 국내 취재진과 중국 측 경호원 간 물리적 접촉이 이어지는 등 충돌 징후가 감지됐지만 전혀 조치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경호처 관계자는 이에 대해 “기자단 통제에 있어 중국은 타국과 차이가 있었다. 사전에 노력했지만 이런 상황이 발생해 죄송하다”고 말했다.
청와대출입기자단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이번 사태는 한국의 언론 자유에 대한 폭거”라며 “중국 정부가 책임 있는 당국자로 하여금 향후 한국 취재진의 방중 시 이 같은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확약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각국 언론단체들 간 연대 조직인 국제기자연맹(IFJ)도 성명을 내고 “언론은 공격 위협없이 자유롭게 보도할 수 있어야 하며 이 시건은 매체의 권리를 침해한 사건”이라며 “한국 동료들과 연대해 중국 당국의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전날 국빈만찬과 한중수교 25주년 문화교류의 밤 행사가 중국의 비공개 요청으로 국내 기자들의 취재가 허용되지 않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당시 만찬장에 청와대 전속 사진기자가 들어갔지만 청와대는 “기록용으로 들어간 것”이라며 이례적으로 사후 공개까지 거부하다 논란이 확산되자 이날 오후 문화교류의 밤 행사 사진과 영상 일부를 공개하기도 했다.
베이징=김회경 기자 hermes@hankookilbo.com
김성환 기자 bluebird@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