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삶 상투화…” 비평집 '문학의 역사(들)'서 비판
문학평론가인 전성욱 동아대 한국어문학과 조교수가 최근 펴낸 비평집 '문학의 역사(들)'(갈무리)에서 베스트셀러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 책에 실린 '정치적인 것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저자는 이 소설이 베스트셀러가 된 이유를 "존재하지만 잘 드러나지 않았고, 소리 크게 외쳤지만 들리지 않았던 자들의 목소리, 그것을 이 소설은 1982년생의 여자 김지영을 통해 세상에 현상하였고, 그 목소리의 숨은 주인공들이 열렬하게 응답하였다"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어 "여성의 원한을 해원할 수 있는 무녀로서의 대화적 언술은 의사의 분석적 언술로 절취되어 그 광란의 힘을 잃어버렸다"며 "정치적 긴급함이 전술의 안이함에 대한 변명의 이유가 될 수는 없다. 여성의 삶을 그렇게 사회적인 통념으로 상투화하는 것은 오히려 반여성적이다"라며 이 소설의 서사 방식을 비판했다.
이에 관해 저자는 출판사와의 인터뷰에서 "이 소설의 서사구조가 갖는 상투성이 여성의 현실을 통속화한다. 소재나 주제로 여성을 전면화했으나 정치적으로는 대단히 반여성적인 소설"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또 "(주인공) 김지영이 그렇게 된 데에는 여전히 강력한 가부장제의 악력과 더불어, 그 가부장제의 구조 속에서 구성된 여성들의 자발적 동조의 메커니즘이 큰 이유를 제공하였다"며 "전투의 그 격렬함을 유인하기 위해 복잡한 적의 정체를 단순하고 명료하게 확정하려는 섣부른 타협이 옳은 일일까"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 소설을 읽고 우리가 서로를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면 얼마나 좋겠냐마는, 오히려 성별의 이해(利害)에 대한 고루한 통념을 더 확고하게 할 뿐이라면 차라리 그 책장을 펼치지 않는 편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고 결론지었다.
이어 "동일성의 확인과 답습을 공유하는 자들의 연대는 대체로 극렬하게 배타적"이라며 "그런 배타적 연대는, 결국은 오인된 전쟁으로 발발해 선량한 이들을 희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글을 마무리했다.
이 책에는 이밖에도 염무웅, 신경숙, 마광수, 장정일, 황정은, 편혜영, 윤대녕, 정이현 등에 관한 비평이 담겼다.
저자는 부산에서 활동하며 계간 '오늘의문예비평' 편집위원과 편집주간으로 일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