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소셜 프랜차이즈’ 도입
서울시가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이 ‘공동구매’ 방식으로 보다 저렴하게 재료를 구입할 수 있는 구매협동조합을 만든다. ‘버거킹’, ‘던킨도너츠’와 같은 미국 주요 프랜차이즈처럼 가맹본부와 점주가 구매협동조합을 구성해 재료비를 낮추도록 하는 게 최종 목표인데,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처음 있는 시도다.
서울시는 다음달부터 가맹점주가 공동으로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는 ‘구매협동조합’과 가맹본부와 점주가 모두 조합원으로 경영에 참여하는 ‘협동조합 프랜차이즈’ 모델로 운영되는 ‘서울형 소셜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모집한다고 22일 밝혔다.
협동조합 프랜차이즈 사업은 서울에 본사가 있는 가맹점주 협의체라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그간 일부 프랜차이즈 가맹본부가 계약 시 가맹점에 ‘구매 강제(필수)품목’을 지정하고 이를 비싸게 팔아 본부와 점주간 분쟁의 주요 원인이 돼 왔는데, 구매협동조합으로 이 관행을 깨 가맹본부의 ‘갑질’을 차단하겠다는 게 사업 취지다. 미국 대다수의 프랜차이즈는 1980년대 ‘가맹점주는 프랜차이즈 본사가 아닌 다른 곳에서 식자재를 구매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자 본부와 점주가 함께 구매협동조합을 조직, 한꺼번에 재료를 구입해 양측 모두 비용 절감에 성공했다.
다만 국내 프랜차이즈의 경우 가맹본부의 주요 수익원이 여전히 ‘가맹점의 필수품목 구매 차액’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같은 구매협동조합에 가맹본부가 참여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최경화 시 공정거래팀장은 “우선 가맹점주들로 이뤄진 구매협동조합이 비필수품목을 공동구매하는 것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가맹본부 참여와 필수품목 공동구매까지 확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서울형 프랜차이즈인 협동조합 프랜차이즈에는 ▦프랜차이즈를 만들고자 하는 기존 협동조합 ▦협동조합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기존 가맹본부 ▦프랜차이즈 신규 설립을 원하는 소상공인이 지원할 수 있다.
시는 서울형 프랜차이즈로 선정되면 최장 6개월까지 비즈니스 모델 개발, 마케팅 등 경영 컨설팅을 지원한다. 전산 시스템 구축과 BI(브랜드아이덴티티) 같은 디자인 개발도 돕는다는 방침이다.
한편 내년 1월부터 지자체도 가맹 분야의 분쟁 조정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는 이에 대비해 올 하반기부터 공익대표, 가맹본부, 가맹점주 등 9명으로 구성된 ‘분쟁조정협의회’를 만들어 시범 운영을 실시한다. 프랜차이즈 분쟁 조정 권한은 지금까지 공정거래위위원회만 갖고 있어 현장 대응과 피해 구제 시 신속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5,741개로, 늘어나는 수만큼 가맹본부와 점주간 분쟁도 증가 추세다. 지난한 해 동안 가맹 분야 불공정 관행으로 서울시 불공정피해 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 건수는 265건이다. 2013년(137건)과 비교해 4년 만에 2배 가까이 껑충 뛰었다.
송옥진 기자 clic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