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신(新)경제지도가 구현되면 가스비가 지금의 4분의 1로 줄어들고, 일본의 수출 물류를 흡수하는 등 경제적 이득이 매우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신경제지도는 지난달 27일 남북정상회담 때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건넨 이동식저장장치(USB)에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은 2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신경제지도 구현의 효과를 설명했다. 신경제지도는 환서해 벨트(목포-인천-개성-해주-신의주-중국 대련), 환동해 벨트(부산-포항-설악산-원산-나진ㆍ선봉-청진-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일본 니가타 포함), 접경지역 벨트(인천-강릉-함흥)로 구성된다. 다 연결하면 ‘H’자 형태다.
김 이사장은 환동해 벨트에 대해 러시아의 가스를 들여오고, 북한의 자원을 개발하는 에너지 자원 벨트라고 설명했다. 우선 그는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의 값싼 가스를 파이프라인을 통해 지금 우리가 쓰는 가격의 4분의 1 수준으로 들여올 수 있다”면서 “북측은 통과료로 1억 달러 정도를 받게 돼 남ㆍ북ㆍ러가 다 같이 윈-윈(win-win)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세계에서 가장 큰 노철 철광이 청진, 무산에 있는데 (이를 남북이) 공동 개발해서 나누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철광석을 호주나 칠레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
환서해 벨트는 산업ㆍ물류 벨트인데 우리나라 서해 산업단지부터 시작해 개성특구, 해주 경제특구, 남포 등 산업단지를 중국과 철도로 연결하는 형태다. 이 벨트는 중국횡단철도, 시베리아횡단철도 등을 통해 유럽까지 이어진다. 김 이사장은 “일본의 화물이 유럽까지 가는데 배를 이용하면 한 달 이상이 걸리고 해적도 만날 수 있다”면서 “철도로 가게 되면 아주 신속하고 안전해 이쪽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비무장지대(DMZ)를 따라 환동해-환서해 벨트를 이어주는 평화벨트는 환경, 생태, 평화, 관광과 물류를 담당하게 된다.
김 이사장은 신경제지도 구상에 대해 “남북을 하나의 경제 공동체로 묶고, 그것을 바탕으로 동북아시아를 평화와 경제의 공동체로 묶어가자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2011년부터 경제 개혁조치들을 단행하며 투자를 유치하려 했지만 대북제재에 막혀 있던 북한과 구조적 저성장에 빠진 한국이 신경제지도를 통한 경제협력으로 한계를 극복하고, 평화를 조성해 결국 동북아 평화 경제 공동체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오랫동안 준비한 것들을 차근차근 실천하는 것인데, 될 수밖에 없고 (그렇게) 시대가 바뀌고 있다”고 주장했다.
허정헌 기자 xscop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