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포함된 국제 공동연구진이 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엘니뇨의 원인을 찾았다. 엘니뇨 예측 정확도를 높여 피해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5일(현지시간)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장을 포함한 11개국 40여명의 국제공동연구진은 동태평양ㆍ중태평양 엘니뇨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매번 다른 형태의 엘니뇨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엘니뇨는 동태평양 적도 부근의 해수면 온도가 6개월 넘게 0.5도 이상 높아지는 이상기후현상이다. 열대지역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 세기 약화가 원인이다. 무역풍 세기가 줄면 서쪽의 따듯한 해수가 동쪽으로 이동해 동태평양 지역의 차가운 물이 표층으로 올라오는 용승 현상을 막는다.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엘니뇨가 동태평양 엘니뇨(3~7년 주기로 발생)다. 2~3년마다 나타나는 중태평양 엘니뇨는 지구온난화로 변형된 형태의 엘니뇨로, 열대중태평양에서 해수면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이다.
이번 연구는 두 엘니뇨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아주 다양한 엘니뇨가 나타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만든 것이다. 엘니뇨는 발생주기ㆍ강도ㆍ지속시간 등이 매우 불규칙해 그간 언제 어디서 나타날지 가늠하기가 어려웠는데, 이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게 됐다는데 의미가 있다. 가뭄ㆍ홍수ㆍ폭우ㆍ폭설 등 엘니뇨가 몰고 올 기상재해는 물론, 식량부족과 식수고갈 등에 좀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종성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는 “기후과학의 난제인 엘니뇨의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물꼬를 튼 것”이라며 “엘니뇨 예측 정확도가 높아져 엘니뇨가 발생하는 동안 어느 지역이 무슨 이상기후를 겪게 될지 보다 확실히 알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독일 함부르크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독일 키엘대 연구원, 미국 하와이대 교수를 거쳐 지난해 IBS로 온 팀버만 단장은 “라니냐 발생지역과 지속시간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규명해 라니냐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데도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라니냐는 엘니뇨와 반대로 동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낮은 상태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이상현상이다. 엘니뇨보다 지속기간이 길고 연속적으로 나타나기도 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변태섭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