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방안’ 확정
정부가 4차 산업혁명과 저출산ㆍ고령화 시대에 대비해 학생부터 은퇴자까지 전 생애에 걸쳐 국민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평생직업교육훈련’ 마스터플랜을 내놓았다. 산업 수요에 탄력적 대응이 가능한 직업계 ‘자율학교’를 늘리고 비정규직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직업교육훈련의 사각지대를 없앤다는 구상이다.
교육부는 미래 직업교육훈련의 방향과 중장기 전략을 담은 관계부처 합동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방안을 27일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ㆍ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급변하는 일자리 지형 변화에 따라 학령기에 집중했던 기존 직업교육에서 벗어나 평생 동안 직무역량을 개발하도록 정책 패러다임을 바꾸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선 산업체 수요에 부응한 통합 직업교육을 위해 교육과정 등의 규제를 완화한 직업계고 자율학교가 늘어난다. 수업 기간이나 졸업 요건 등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는 자율학교 중 직업계고는 현재 166개가 지정돼 운영 중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듣는 ‘고교학점제’도 직업계고에 먼저 도입된다.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마이스터고에 2020년 도입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온ㆍ오프라인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케이무크(K-MOOC)에 직업 교육훈련 강좌를 신설해 재직자들의 직무개발에 도움을 줄 방침이다.
교원 양성 체계도 실무 중심으로 대폭 개편한다. 지금은 일반대와 전문대 교원 자격이 같은데 앞으로 ‘대학교원 자격 기준 등에 관한 규정’을 고쳐 전문대 교원은 산업체 근무 경력을 우대한다. 우수 현장전문가가 직적 학생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교과 사범대 재직자 특별전형’, 신산업분야의 산학겸임교사에게 교사자격증을 주는 방안도 각각 도입을 추진한다.
고용보험 미적용자와 경력단절 여성, 비정규직, 장애인 등 직업교육훈련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식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중소기업 재직자의 공동훈련센터를 활성화하고 장애인 대상 직업교육훈련 인프라 구축과 학교 부적응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공립형 직업 대안고교(가칭)’ 운영을 검토한다.
정부는 국무총리를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국가 산학연협력위원회’에 직업교육훈련 정책 관련 컨트롤타워를 맡겨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정책 연계와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기술혁신에 대응해 모든 국민이 역량을 키워 일하면서 행복을 찾도록 지원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이삭 기자 hir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