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이 수행비서 성폭력 혐의로 기소된 안희정 전 충남지사에게 ‘무죄’를 선고하면서, 이에 반발하는 여성들의 움직임이 주말 거리를 뒤흔들었다. ‘미투운동과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18일 오후 5시 서울역사박물관 앞에서 안 전 지사의 무죄 판결에 반발하는 ‘성차별ㆍ성폭력 끝장집회’를 개최했다. 집회 주제는 ‘여성에게 국가는 없다, 못살겠다 박살내자’다. 본래 25일로 기획돼 있던 다섯 번째 ‘성차별ㆍ성폭력 끝장 집회’는, 안 전 지사의 무죄 선고에 항의하기 위해 한주 앞당겨 개최됐다.
이날 집회에는 피해자인 김지은씨가 집회 참가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연대를 호소했다. 재판에서 김씨의 대리를 맡았던 정혜선 변호사가 김씨를 대신해 무대에 올라 김씨의 편지를 대독했다. “함께여서 덕분에 힘을 냅니다. 살아내겠다고 했지만 건강이 온전치 못합니다”고 편지의 서두를 뗀 김씨는 “너무 힘들어서, 죽어야 제대로 된 미투로 인정받을 수 있다면 지금 당장이라고 죽어야 할까 생각하기도 했다”고 그간의 심경을 밝혔다. 그러면서 “큰 모자와 마스크, 뿔테 안경 뒤에서 언제까지 숨어 살아야 할까. 내게 일상은 언제 찾아올까. 악몽은 언제 끝날까”라고 성폭력 폭로와 이후 재판 과정에서 겪었던 고통에 대해서 토로했다.
김씨는 그러면서 “세분의 판사님께 묻습니다. 왜 가해자에게는 묻지 않습니까. 왜 그들의 증거와 그들의 목소리는 들으면서 저의 목소리나 증거는 듣지 않으시나요. 왜 가해자의 말은 귀담아 들으면서 피해자의 말은 듣지 않으시나요”라며, 재판부의 편파적인 판결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안희정에게 물었습니까? 왜 검찰 출두 직후 휴대폰을 파기했는지, 왜 미안하다면서 그리 여러 차례 김지은을 농락했는지, 왜 페이스북에 합의에 의한 관계 아니었다고 했으면서 말을 바꿨는지 물었습니까”라고 재판부의 판결에 대해 의구심을 표했다.
김씨는 “저는 그저 하루하루 열심히 살았던 노동자이자 평범한 시민”이라며 “제게는 친한 정관법조인도, 높은 언론인도, 유력 정치인도, 고위경찰도 없습니다. 강한 저들의 힘 앞에 대적할 수 있는 것은 여러분 밖에 없습니다”라며 1심 선고 이후로도 이어질 항소심 등에서도 시민들의 관심을 부탁했다.
한편 이날 오후 5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앞에서 진행된 집회는 김지은씨의 편지 대독 외에도 권김현영 여성주의 연구활동가, 한국여성의전화 고미경 상임대표, 최영미 시인의 발언 등이 이뤄졌다. 주최측은 오후 6시 기준 7,000여명의 시민들이 참여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후 6시 부터는 광화문과 경복궁, 인사동을 통과해 다시 서울역사박물관으로 돌아오는 대규모 행진이 이어진다.
한소범 기자 beo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