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백조의 호수’ 춤 배우며 파킨슨병 환자가 웃었다
알림

‘백조의 호수’ 춤 배우며 파킨슨병 환자가 웃었다

입력
2018.09.04 04:40
수정
2018.09.04 14:37
21면
0 0

치료무용 ‘댄스 포 피디’ 국내 도입

무료 시범 클래스 열고 강사 양성

부산대병원 등 의료기관에 파견

운동 능력 느려지는 환자에

균형ㆍ유연성은 물론 정서적 효과

내달 치매 환자 무용교육도 도입

파킨슨병 환자들은 신체 능력의 퇴화와 더불어 우울증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들을 위한 무용 프로그램인 '댄스 포 피디'는 몸을 움직일 뿐 아니라 환자들 간 정서 교감을 통해 마음까지 치유한다는 장점이 있다. 마크 모리스 무용단 제공
파킨슨병 환자들은 신체 능력의 퇴화와 더불어 우울증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들을 위한 무용 프로그램인 '댄스 포 피디'는 몸을 움직일 뿐 아니라 환자들 간 정서 교감을 통해 마음까지 치유한다는 장점이 있다. 마크 모리스 무용단 제공

“내가 당신과 춤을 춰도 되겠습니까?” 수업은 둥그렇게 둘러앉은 사람들이 옆에 앉은 이에게 손동작으로 인사를 건네며 시작한다.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 선율에 맞춰 손뼉을 치는 이들은 집시가 됐다가, 차이콥스키 발레 음악 ‘백조의 호수’을 배경음악으로는 우아한 백조의 날갯짓을 선보였다. 무용 수업이 앉아서 진행되는 이유는 수강생들이 파킨슨병 환자이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등이 살짝 굽었고, 누군가는 다리를 쉼 없이 떨고 있었다. 강사의 동작을 온전히 따라 움직이는 게 쉬워 보이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머리 희끗한 노인들의 얼굴에 웃음꽃이 피어 올랐다. 매주 월요일 오후 2시, 서울 혜화동 ‘스튜디오 마루’ 무용연습실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3일에는 9명의 수강생이 찾아 왔다. 안무를 직접 만들어 온 주 강사 한 명과 환자들을 돕는 보조 강사 4명이 함께 했다.

‘댄스 포 피디’는 2001년 미국의 마크 모리스 무용단이 뉴욕 브루클린 파킨슨 모임과 함께 개발한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무용 교육 프로그램이다. 국내에서는 전문무용수지원센터가 지난해 9월부터 무료 시범 클래스를 열고 있다. 경남 양산 부산대병원과 대구보건소 등 의료기관에도 강사를 파견한다.

파킨슨병은 퇴행성 뇌 질환의 일종으로 인지능력엔 문제가 없지만 운동능력이 느려진다. 하루 6번씩 약을 복용하며 떨림과 강직을 완화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댄스 포 피디 프로그램은 또 다른 치료제다. 환자들이 몸을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균형감각, 유연성, 걸음걸이 개선에 도움이 되지만 무엇보다 사회적으로 고립되기 쉬운 환자들이 함께 모여 얻는 정서적 안정감이 크다. 병원의 재활 프로그램과 달리 ‘춤을 추러 온다’는 사회활동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이날 현장에서 만난 보호자 김모(65)씨의 아내는 파킨슨 투병 생활을 한 지 21년째다. 김씨는 “2년째 진료를 받아 온 재활의학과 선생님이 무용 프로그램 이후 ‘몸이 왜 이렇게 유연하고 가벼워졌는지’ 물을 정도로 효과가 있었다”며 “파킨슨병 환자의 무표정은 수술로도 고쳐지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곳에서 다른 환자들과 정서적으로 교감하면서 아내의 표정도 밝아졌다”고 말했다.

지난해 전문무용수지원센터에서 댄스 포 피디 강사 교육을 수료한 유니버설발레단 수석무용수 출신 임혜경 강사는 “처음엔 어색해하고 눈치를 보던 분들도 이젠 동작도 잘 따라 하고 장난을 치거나 의견을 제시할 정도로 달라졌다”고 했다. 파킨슨 병은 완치가 없어, 환자들은 신체 증상에 더해 우울증까지 겪는 경우가 많다. 환자들이 함께 둘러앉아 춤을 추는 것만으로도 공동체의 연대를 의미한다. 고성범 구로고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좌절감이 큰 파킨슨 환자들에게 스스로 설정한 일상생활의 제약에서 벗어나게 하는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한다.

댄스 포 피디 프로그램을 도입한 나라는 현재 25개국에 달한다. 캐나다는 국립발레학교에 강사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두고 있을 정도로 활발하다. 전문무용수지원센터도 강사 양성을 통한 무용수들의 직업 전환을 염두에 두고 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댄스 포 피디 강사들은 치료사이면서 동시에 무용수다. 단순한 동작인 것처럼 보이지만 작품성까지 고려해 팔꿈치를 들지, 손목만 꺾을지 세심하게 안무를 짠다.

전문무용수지원센터는 10월 중 치매 환자들을 위한 무용 교육 프로그램인 ‘댄스 포 디멘시아’도 도입할 예정이다. 댄스 포 디멘시아는 영국의 그린 캔들 댄스 컴퍼니와 ‘창의적 치매 예술네트워크’ 등 여러 예술가와 무용 치료사들이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춤이 치매 환자의 표현능력과 소통능력 개선에 주는 효과에 맞춰 치매 단계별 환자에게 맞는 무용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영국에서는 이미 영국 국립발레단, 스코틀랜드 국립발레단, 로얄 오페라 하우스 등에서 치매 환자를 위한 무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무용을 일상으로 들여오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민간발레단인 서울발레시어터는 2011년 노숙인에게 발레 교육을 해 자신감 회복과 자립을 돕는 ‘홈리스 발레단’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안무가 안은미는 노인, 장애인과 함께 공연하는 ‘커뮤니티 댄스’ 연작을 발표했다. 임혜경 강사는 “파킨슨병처럼 개인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일들에 사회 일원으로서 보탬이 되고 싶다는 생각도 한다”며 “무용이 삶이 윤택해지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했다.

양진하 기자 realh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