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18일 중국 광저우(廣州)에서 ‘2018 중국 제조업 혁신대회’가 열렸다. 중국 제조업계 내 혁신적 성과를 강조하고, ‘제조업 대국’을 뛰어넘어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을 다짐하는 자리였다. 먀오웨이(苗圩) 중국 공업정보화부 부장은 “정보기술과 제조기술 간 적극적인 융합으로 인공지능(AI) 로봇, 디지털 선반 등 핵심 제품과 장비분야에서 혁신적 돌파구를 마련했다”며 “제조업과 인터넷 간의 융합으로 새로운 모델, 새로운 경영방식이 빠르게 생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2015년부터 ‘중국제조 2025’라는 산업 육성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제안한 이 프로젝트는 2025년까지 첨단 의료기기, 바이오 의약 기술 및 원료 물질, 로봇, 통신 장비, 첨단 화학제품, 항공우주 등 하이테크 제조업 10개 분야에서 대표 기업을 육성한다는 목표다. 빠르면 2036년까지 독일, 일본을 넘어 세계 제조업계 최선두에 서겠다는 것이다.
한국에도 ‘4차 산업혁명’ 열풍이 불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미래형 자동차, 사물인터넷(IoT), 디스플레이 등 이른바 ‘신산업’ 5대 분야를 지정, 최대 125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일자리 10만 7,000여 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앞으로 민간 투자를 지속 유도ㆍ확대 지원해 민간 분야에서 2022년까지 목표치인 20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달성하겠다”며 “민간 부문 일자리 창출 지원에 과감한 정책들을 결합해 고용상황을 대폭 개선해 가겠다”고 말했다.
제조업에 대한 정부의 투자 기준이 변하고 있다. 자동차, 철강 같은 기존 주력 제조업에서 인공지능(AI), 로봇 등 신 산업으로 투자의 흐름이 옮겨가고 있다. 문제는 인력ㆍ자금 문제 등으로 변화에 발 빠른 대처가 어려운 중소기업이다. 정부가 신 산업 중심 정책을 펼치면서, 전통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들이 구조조정, 산업환경 변화와 함께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업계의 대표적인 애로사항 중 하나로 컴퓨터 이용공학(CAE)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디지털 트윈(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것)’ 도입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많은 중소기업이 ‘디지털 트윈’처럼 세계적 화두로 떠오른 기술을 비용, 인력 문제 등으로 도입하지 못 하고 있다”며 “정부가 디지털 혁신을 위한 사업을 수행해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CAE 인력 고용으로도 연계될 수 있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혁신성장 정책’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통 주력산업이자 여전히 강점을 보이고 있는 기계산업(기계부품, 공작기계, 건설기계 등)의 제조 기술혁신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전통 제조업의 IT화 또는 전통제조업의 업그레이드 등 신 산업 육성과 기존 주력산업의 균형 있는 지원 방향 정책을 향한 종합계획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원모 기자 ingodzon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