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킹스연구소, 중간선거 분석
민주당 승리 지역 평균 소득이
공화당 우세지역보다 25% 높아
민주당 첨단산업 vs 공화당 제조업
지지층 주력산업도 뚜렷한 차이
미국의 정치지형이 부유하고 교육받은 민주당과 그렇지 못한 공화당 지지자로 양분되고 있다. 지난 6월 치러진 미국 중간선거에서 정치적으로는 ‘상공하민’(상원 공화당ㆍ하원 민주당 장악)의 양립 구도가 나타났지만, 경제적으로는 민주당과 공화당 지지계층의 격차가 재확인됐다. 유권자들의 학력과 생산성 주력산업 등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강세지역에서 뚜렷한 차이점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에 따르면 이번 중간선거 결과를 공화ㆍ민주당 승리 지역의 주민 1인당 소득과 학력 등 경제변수로 분석한 결과, 심각한 대립 양상이 확인됐다. 하원 선거에서 민주당 승리가 이미 확정된 228개 지역구(16일 기준)의 경제규모 합계가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60.9%를 차지한 반면, 공화당 승리 지역(220개 지역구)은 전체 GDP의 37.6%에 머물렀다. 1인당 실질 GDP 역시 민주당 승리 지역의 평균은 13만527달러로, 공화당(10만6,832달러) 지역 대비 25% 가량 높았다.
‘경제의 분화’와 ‘정치적 분열’이 서로 결합하면서 증폭되고 있다는 얘기인데, 연구소는 이로 인해 미국 경제의 미래 발전 전략 수립도 잠재적인 위기에 봉착했다고 진단했다. 앞서 많은 분석가들이 선거 향배를 좌우한 결정적 요인으로 인종과 종교 등과 관련한 ‘문화적 대립’을 꼽았고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사실이긴 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경제적 분열상’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게 연구소의 시각이다.
주력 산업이나 근로자의 특성에도 명백한 차이가 있었다. 민주당 승리 지역 유권자들은 소프트웨어 산업, 컴퓨터 시스템 설계 등 첨단 산업에 강한 지향성을 갖고 있고, 학사학위 이상 소지 25세 이상 근로자들도 35.2%에 달했다. 이에 비해 공화당 우세 지역은 의류나 제지 등 단순 제조업 종사자와 저개발 산업 근로자가 많았고, 대학졸업 이상의 교육을 받은 근로자도 28.0%에 그쳤다.
연구소는 이를 두고 “정치적 분열이 미국 사회를 ‘고생산(high-output)’과 ‘저생산(low-output)’ 지역이라는 두 경제권으로 더욱 쪼개고 있다”며 “현대 미국 사회의 경제적ㆍ정치적 삶이 처해 있는 당황스러운 진실”이라고 표현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를 출범시킨 지난 2016년 대통령 선거 때 드러난 ‘갈라진 미국’ 현상이 경제적 변수와 맞물려 더욱 짙어졌다는 뜻이다. 대도시ㆍ인근 교외 지역(민주당 우세)과 농촌 및 단순제조업 지역(공화당 우세)은 경제 규모나 특성이 서로 다를 수밖에 없는 게 사실이지만, 양자 사이의 ‘심리적 거리’도 점점 더 멀어지고 있다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문제는 ‘상공하민’과 맞물려 중간선거 이후 미국의 경제적ㆍ사회적 교착 상태가 계속 지속될 것이며, 그 결과 미래 전략의 수립도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연구소는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농업과 에너지 등 전통산업 종사자가 많은 지역을 대표하기 위해 ‘지식 경제’에 부응하려는 도시ㆍ교외 지역의 노력을 언제든지 차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각 주 별로 두 명씩 뽑아 의석 수가 총 100석인 미국 상원의 경우, 공화당이 19일 현재 총 52석을 확보해 과반을 이룬 상태인데, 연구개발 기금, 디지털시대 노동자 재교육, 이민, 건강관리 등 민주당 우세 지역의 관심 사안을 저지하려 들 게 뻔하다는 말이다. 보고서는 “고부가가치 경제의 요구를 지원하지 못하는 국가가 진정으로 번영할 수 있는지가 앞으로의 핵심 질문”이라며 “(미국에서) 이른바 ‘번영의 역설’은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김정우 기자 woo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