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아하!생태!] 불쌍해 보이는 길고양이, 생태계선 무서운 포식자랍니다

입력
2018.12.15 04:40
13면
0 0
도심 속에서 살아가는 길고양이는 인간에게는 불쌍한 존재 또는 민원을 야기하는 동물로 여겨지지만 조류에게는 무서운 포식자다. 픽사베이
도심 속에서 살아가는 길고양이는 인간에게는 불쌍한 존재 또는 민원을 야기하는 동물로 여겨지지만 조류에게는 무서운 포식자다. 픽사베이

반복되는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들 주변에서 자기 나름의 생을 살아가는 동물이 있습니다. 고양이입니다. 주인 있는 집고양이야 집안에서 많은 귀여움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만, 길거리에서도 흔하게 고양이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주변의 고양이는 대체 어디서 유래되고 한반도에는 어떻게 유입되었을까요?

고양이(펠리스 카투스ㆍFelis catus)의 원종은 ‘유럽들고양이’입니다. 영명은 ‘유러피안 와일드캣’(European wildcat), 학명은 ‘펠리스 실베스트리스’(Felis silvestris)로 유럽과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하는 종입니다. 곡식을 먹어 치우는 쥐를 통제하기 위한 사육화의 기록은 약 9,000년 전 근동 아시아 지역 야생고양이가 근원으로 추정됩니다. 현재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는 삵은 기원전 5,500년경 중국에서 독자적으로 가축화되었으나 이 계통은 현재 고양이와의 경쟁에 밀려 대중성이 사라졌죠. 물론 다시 현대에 고양이와 삵의 인공교배를 통해 벵갈캣이라는 품종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고양이가 들어온 건 삼국시대라는 설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설에는 중국에서 불교 전래 시 쥐가 경전을 쏠지 못하도록 고양이를 함께 들여왔다고 하더군요.

◇길고양이는 불쌍한 이웃? 뛰어난 포식동물?

고양이의 인간 의존도에 따라 사람들은 집고양이, 배회고양이 그리고 들고양이로 부르는데요. 여기서는 배회고양이, 들고양이를 편의상 길고양이로 부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길고양이의 문제는 주로 민원 야기동물 또는 불쌍한 우리 이웃이라는 관점에서 주목 받고 있죠.

하지만 전 세계적 규모로 보았을 때 길고양이와의 공존 문제와 더불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바로 생태계 침입종이라는 관점입니다. 우리에게는 연약하고 가련한 동물이지만 수많은 야생동물들에게는 여전히 무섭고, 능력이 뛰어난 포식동물이라는 것이죠.

그렇다면 고양이는 왜 야생동물을 잡을까요? 고양이는 선천적 포식자이고 놀이를 좋아합니다. 먹기 위해 잡는다기 보다는 잡는 행위 자체가 놀이이기 때문에 잡는 것입니다. 상위 포식자가 먹이사슬 아래의 동물들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생태 원리 중 하나이지요. 2013년 스코트 로스 등 미국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길고양이가 야생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는데요. 전 세계 길고양이가 야생동물에게 미치는 영향 관련 논문 171편을 분석한 결과, 미국 내에서 연간 13억~40억 마리의 조류들과 63억~223억 마리의 포유류, 8,000만~3억2,000만 마리의 양서류, 2억~8억 마리의 파충류를 고양이가 죽이는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물론 미국 내 전체 길고양이 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기는 하지만, 분명 매우 많은 수의 조류가 길고양이에 의해 희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난 2015년 4월 전남 홍도에서 흰배지빠귀 사냥에 성공한 길고양이. 이우만씨 제공
지난 2015년 4월 전남 홍도에서 흰배지빠귀 사냥에 성공한 길고양이. 이우만씨 제공

이러한 현상은 비단 미국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발표된 자료들에 따르면 영국에서만 매년 5,500만 마리 조류가 피해를 입고 있으며, 호주의 경우 파충류만 연간 6억 5,000만 마리가 사냥 당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100대 치명적 침입 외래종 중 하나로 고양이를 지정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전국적 피해규모 추정치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습니다.

나아가 고양이의 간접적 영향도 조명 받고 있습니다. 고양이에게 감염된 감염성 질병이 멸종위기에 처한 삵이나 퓨마에게 전염되는 것은 잘 알려진 사례입니다.

고양이의 존재만으로도 영향을 받는 동물들도 있습니다. 공포를 느껴 습성이 변하는 경우입니다. 한 실험에 의하면 고양이 박제에 둥지가 노출되는 경우 부모새의 먹이 공급 횟수가 토끼 박제에 비해 3분의 1로 줄어들었습니다. 한 번에 공급하는 먹이량이 늘어날 수도 없기 때문에 결국 새끼새 성장률은 40%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청설모 박제의 경우에도 새끼새의 성장률은 다소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고양이에 비해서는 미약한 정도였지요. 또 고양이 방어에 한눈 파는 사이 까마귀 등의 다른 포식자들에게 새끼새들이 죽는 비율도 훨씬 높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길고양이 개체 수 관리하는 방법

길고양이의 자신의 삶뿐만 아니라 야생동물과의 공존을 위해서도 길고양이의 개체 수 관리는 필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개체 수 관리 방법을 놓고 해외에서는 많은 의견이 오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목표 차이는 집단의 안정화 또는 감소에 있는데요. 즉 현재 개체 수를 유지할 것이냐, 감소를 목표로 하느냐에 따라 접근법은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방법은 TNR(포획-중성화-복귀)입니다. 그 외에도 TVHR(포획-정관 및 자궁절제술-복귀)이 있죠. 이 둘의 가장 큰 차이는 성호르몬 분비 여부인데요, 이는 번식행동과 연관되고 다른 고양이와의 공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먼저 TNR은 성호르몬을 주로 분비하는 정소와 난소를 모두 제거해버리기 때문에 발정이 오지도 않고 교미도 하지 않습니다. 번식행동을 하지 않게 되면서 세력권 다툼도 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공간에서 다른 고양이들과 함께 살 수 있습니다. 반면 THVR은 정상 고양이처럼 행동합니다. 생식소가 남아있기에 성 호르몬은 여전히 분비되고, 정상적 번식주기가 유지되므로 수컷들끼리 경쟁이 가능하고, 암컷도 번식활동에 참여합니다. 실제로 번식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세력권 확보와 영역다툼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THVR보다 TNR의 생존율이 더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한정된 예산과 길고양이의 수명, 삶의 질 등을 감안하면 어떤 게 나을지에 대한 고민은 필요해 보입니다.

해외에서는 야생조류 보호를 위해 고양이의 목에 색깔 있는 목도리를 둘러줌으로써 사냥률을 낮추는 방법도 개발됐다. 버드비세이프 홈페이지 캡처
해외에서는 야생조류 보호를 위해 고양이의 목에 색깔 있는 목도리를 둘러줌으로써 사냥률을 낮추는 방법도 개발됐다. 버드비세이프 홈페이지 캡처

개체 수 조절과는 별도로 다른 야생동물들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고양이에게 방울을 달아주거나 목도리를 씌워주는 방법입니다. 고양이 방울의 효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으나 고양이 목도리(BirdsBeSafe)는 미국과 호주에서 그 효과가 검증된 바도 있지요. 고양이의 털색은 자연 위장색에 가깝기에 조류 포획에 훌륭한 장점이 됩니다만 조류에게는 그만큼 위협적입니다. 따라서 다채로운 색의 목도리를 고양이 목에 둘러줌으로써 색감 분석능력이 뛰어난 새가 빨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겁니다. 실제 2013~2014년 미국 세인트 로렌스대학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다양한 색의 목도리를 착용한 고양이의 조류 사냥률은 87%까지 떨어졌고, 호주 머독 대학에서의 연구도 49%까지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양이에게도 안전하고 편안하며 겨울철에는 보온의 기능도 있다는 점도 고려해 볼만 합니다.

◇길고양이 개체수 조절에 필요한 원칙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 문제를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몇 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먼저, 고양이 개체군은 야생생물 전문가가 판단한 생물다양성이 낮은 지역에만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일시적 관찰에 의존해 목표를 잡기 보다는 개체군 감소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연구 설계의 과학적 원칙이 이용되어야 할 것, 엄격한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한 대응관리를 통해 TNR이 고양이 개체 수를 줄이는데 효과적이지 않거나 야생동물, 고양이 또는 인간에게 해를 입히는 경우 관리 방법을 개선하고 대안적 접근법을 구현해야 할 것,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전학자, 수의학 전문가, 고양이 및 야생동물 애호가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서울시에 따르면 길고양이 개체 수는 2013년 25만 마리에서 2015년 20만 마리, 2017년은 13만 9,000 마리로 개체수가 감소했다. 픽사베이
서울시에 따르면 길고양이 개체 수는 2013년 25만 마리에서 2015년 20만 마리, 2017년은 13만 9,000 마리로 개체수가 감소했다. 픽사베이

지난 2월 서울시에 따르면 길고양이 개체 수는 2013년 25만마리에서 2015년 20만마리, 2017년은 13만9,000마리로 개체수가 감소했다고 추정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서울시는 “10년 동안 지속해서 TNR(중성화 사업)을 확대 실시한 것이 길고양이 개체 수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울시에 따르면 10년간 중성화 수술을 한 길고양이는 6만5,000여마리인데요. 매년 평균 약 7,000마리 수준입니다. 2013년 25만마리 중 7,000마리를 중성화했다면 암컷 3%를 중성화한 것입니다. 97%의 암컷은 여전히 번식이 가능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연간 전체 개체군의 70%에 대해 중성화 시술을 해야만 비로소 개체군이 감소한다는 수학적 모델링 결과와는 사뭇 다른 결과입니다. 길고양이 수가 14만 마리로 추정되는 현재 서울시의 연간 중성화 목표치는 약 1만여마리입니다. 전체 개체군의 7%에 해당하는데요. 현존 개체군 중 4만마리가 이미 중성화되었다고 가정하더라도 10% 정도에 그칩니다. 예산 문제가 있어 쉬운 일만은 아니겠지만 사업 목적에 좀더 부합하는 과학적 목표수치를 설정하고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집중 TNR의 날’을 정하고 사회적 활동참여의 일환으로 지역 수의사회와 특정 구역의 고양이를 집중적으로 시술하는 방법 등입니다.

고양이와의 평화로운 공존도 생각해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 생태계를 떠받치고 있는 야생동물과의 공존도 중요합니다. 사회 각층과 전문가의 의견을 편견 없이 모아, 보다 나은 공존의 묘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김영준 국립생태원 동물병원 부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