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점검 결과, 강남 18곳ㆍ분당 49곳 등 노후 열수송관 203곳 이상징후... 내달까지 종합대책
지난 4일 경기 고양시 백석역 열수송관 파열 사고에 이어 최근 서울 목동, 경기 안산시에서도 비슷한 온수관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민간이 나눠 관리 중인 전국 열수송관에 대한 정부 차원의 통합 안전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백석역 사고 이후 20년 이상 된 노후 열수송관 긴급점검에 나섰던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총 203곳에서 이상 징후를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열수송관 절반은 민간ㆍ지자체 담당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국에 깔린 열수송관 총 3,956km 중 지역난방공사가 관리하는 구간은 절반 남짓(54.7%)인 2,164km다. 나머지 1,792km는 36개 지역난방사업자가 자체 관리한다.
지난 11일 파열된 서울 목동 온수관을 관리하는 기관은 서울시 산하 서울에너지공사다. 12일 파열 사고가 난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온수관은 안산시와 삼천리가 지분 절반씩을 보유한 안산도시개발 담당이다. 경기 안양ㆍ부천시의 열병합발전소와 지역난방설비를 운영하는 GS파워처럼 외환위기 이후 한국전력과 지역난방공사로부터 설비를 매입해 민영화한 곳도 있다.
민간 업자라 해도 이들은 모두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라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정부는 연 1회 에너지공단에 위탁해 정기검사를 벌이고 있는데, 문제는 이 검사가 대형 사고를 사전에 막을 만큼 실효성이 없었다는 점이다. 황창화 지역난방공사 사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역난방이 시작된 지 30년이 넘어 최근 유사 사고가 빈발하는데 국가적 관리가 이뤄져야 할 시기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경훈 산업부 에너지수요관리과장은 “백석역 사고 이후 지난 5일 37개 난방사업자에 긴급점검을 지시했고, 9일에는 민관 합동 특별대책반을 꾸려 현재 전국 열수송관에 대한 일제 점검이 진행 중”이라며 “조만간 정부 차원의 종합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백석역 사고 이전까지는 각 난방사업자에 대한 안전 관리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일각에선 지역난방공사 등이 비용 절감을 위해 자체 인력을 줄이고 열수송관 점검을 용역업체에 맡긴 것도 사고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한다. 지역난방공사는 2016년부터 열수송관 점검을 외부에 맡기기 시작했으며 백석역 열수송관도 용역업체가 점검했다. 황 사장은 “위험관리의 외주화 문제는 공기업들이 가진 많은 딜레마 중 하나”라고 털어놓았다.
◇”203곳 이상 징후… 16곳은 사고 위험”
이날 지역난방공사는 백석역 사고 이후 지난 5~12일 사이 전국 686㎞에 달하는 20년 이상 노후 열수송관에 대한 긴급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점검 결과, 주변지역과 섭씨 3도 이상 지열 차이가 발생하는 ‘이상징후’ 지점이 203곳 확인됐고, 지열 차이가 10도 이상으로 사고 발생 위험이 있어 보이는 지점은 16곳이었다.
이상징후 203곳 가운데는 지역난방공사의 서울 중앙지사 관할지역(여의도, 상암, 반포 일부)이 78곳으로 가장 많았고, 강남(서초 일부 포함)도 18곳으로 96곳이 서울에 집중됐다. 이 밖에 경기 분당(49곳), 고양(일산ㆍ24곳), 용인(15곳), 대구(12곳), 수원(7곳) 등이었다.
16군데 사고 위험 지점 가운데는 고양이 6곳으로 가장 많았고 분당이 4곳, 수원ㆍ대구 각 2곳, 중앙ㆍ강남이 1곳 씩이었다. 고양 지역에선 실제 미세한 누수가 발생한 한 곳의 배관 밸브를 교체했고, 나머지 지점에선 아직 누수가 발견되지 않은 상태다. 지역난방공사는 “13일 현재 2곳은 굴착 중이고 나머지 9곳은 관할 구청 등과 협의해 굴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지열차가 발생하는 203곳 등 이상징후가 나타난 부위나 구간은 내년 1월12일까지 정밀진단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내년 1월말까지 종합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지역난방공사는 “백석역 사고는 열수송관 연결부 용접부위가 내구성이 떨어져 파열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백석역과 동일한 공법으로 시공된 전국 443곳은 내년 3월 말까지 모두 굴착해 보수 또는 교체할 계획”이라고도 설명했다.
황창화 사장은 이날 “공사의 30여년 역사에 온수관이 금 가거나 찢긴 사고는 있었지만 백석역 같은 폭발형 사고는 처음이었다”며 “안전관리를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겠다”고 다짐했다.
지역난방공사는 지하매설물 관련 외부전문가로 위원회를 구성해 1998년 이전 설치된 열수송관 중 보수ㆍ교체 기준을 마련하고, 열수송관 유지보수 예산을 연 200억원에서 1,000억원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또 열수송관 관로, 감시시스템 점검을 맡은 외주 업무를 올해 안에 112명 규모 자회사로 전환하고 지자체와 협조해 열수송관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황 사장은 “백석역 사고 유족 및 피해자와 열공급 중단으로 불편을 겪은 국민에게 진심으로 다시 사죄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김용식 기자 jawohl@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