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장질환, 대장용종, 나쁜 생활습관, 가족력
대장암은 2016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암 중 남녀 합산 두 번째로 많은 암이다. 사망률도 매우 높아 폐암, 간암에 이어 3위를 기록하고 있다. 대장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염증성 장질환(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을 앓고 있는 사람, 대장 용종이 있거나 대장암 가족력 등이 꼽힌다.
염증성 장질환과 용종 대장암 발병 비율 높여
대장암도 다른 암처럼 원인이 다양하지만 특히 조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첫째, 염증성 장질환을 앓을 때다. 단순한 장염이 아니라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이 있다면 대장암의 발병 비율이 올라가고 발병 연령도 보통 대장암 환자에 비해 이르다.
둘째, 대장 용종이 있는 경우다. 대장내시경에서 곧잘 발견되는 용종은 장 점막 증식으로 생긴 일종의 혹으로, 대장암으로 악화할 수 있다. 김창우 강동경희대병원 외과 교수는 “용종 중에서도 선종은 선암으로 악화하는 과정은 입증된 지 오래됐지만, 최근 암 발병률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던 증식성 용종도 적은 확률이지만 대장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다”고 했다.
셋째, 나쁜 생활습관 또한 대장암의 주원인이다. 특히 식습관도 중요한데, 여러 음식 중에서도 햄, 소시지, 베이컨 등의 가공육은 대장암 발병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들이 있다. 또한 흡연이나 음주, 비만 등도 아직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대장암 발병의 주요 위험인자로 꼽힌다.
넷째, 가족 중 대장암에 걸린 환자가 있는 경우다. 대장암 중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과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은 전체 인구에서 발생 확률은 낮지만 젊은 나이에 많이 발생하고, 유전성 종양 중에서는 발생 빈도가 높아서 가족력이 있다면 주의가 필요하다.
대장암 고위험군이거나 의심 증상 있다면 검사를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암검진으로 50세 이상에서 대변잠혈검사를 시행한 후 양성이 나오면 대장내시경을 권한다.
김창우 교수는 “50세 미만이어도 혈변, 반복되는 설사나 변비, 체중 저하 및 피로감 등 대장암 의심증상이 있거나, 염증성 장질환이나 대장암 가족력이 있다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했다. 대장내시경 검사는 다른 검사에 비해 정확할 뿐만 아니라, 대장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전암성 병변인 용종을 검사하면서 즉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대장암 생존율 전 세계 1위
여러 검사를 통해 이미 대장암 진단을 받았다고 해도 낙담하는 것은 이르다. 대장암은 사망률이 매우 높은 암이지만 생존율도 계속적으로 높아지는 암 중 하나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대장암 생존율은 2011년부터 2015년 사이에 조사된 것으로, 5년 상대 생존율이 76.3%로 보고됐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장암 치료수준은 세계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2018년 저명 의학저널인 Lancet에 발표된 세계적 암 추세 감시 프로그램인 CONCORD-3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대장암(결장, 직장) 부문에서 세계 1위의 생존율을 보고했다.
초기 대장암, 내시경치료만으로 완치
대장암은 위치, 깊이, 임파선 전이, 원격 전이 등 여러 요소에 따라 내시경치료, 수술, 항암화학치료, 방사선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결정된다. 이 가운데 가장 필수적인 치료법은 수술이며, 방사선치료나 항암치료는 수술 전후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1기 대장암 중에서도 매우 초기인 경우 내시경적 치료만으로 충분하지만, 내시경적 치료로 불충분한 경우와 2, 3기 대장암 완치를 위한 기본 치료는 수술을 통한 완전한 절제다. 4기 대장암은 육안으로 완벽한 절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불가능하다면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 등 수술 외에 다른 치료법을 고려한다.
대장암 수술에 복강경과 로봇수술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복강경 수술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현재는 구멍 1개만 뚫어 수술하는 단일포트 수술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김창우 교수는 “최소 절개로 수술 후 흉터를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통증이 매우 적다”며 “결과적으로 환자 회복이 빠르고 장폐색 등 수술 후 합병증 우려가 낮다는 점이 강점”이라고 했다.
로봇수술은 로봇팔과 3D 입체화면을 통한 보다 정밀한 수술이 가능해, 특히 직장암 수술시 자율신경을 더욱 잘 보존하여 배뇨기능, 성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는 장점을 보이면서 점차 시행이 늘어나고 있다. 김창우 교수는 “대장암 진단을 받았다고 하더라고 환자의 상태와 병의 진행상황에 따라 수술, 항암, 방사선 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니 포기하지 말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