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 후보 릴레이 인터뷰]
이해찬 대표와 호흡 잘 맞아… 당 안정되게 이끌어 내년 총선 준비할 것
“내년 총선은 국정의 발목을 잡으려는 과거 회귀 세력과 한반도 평화ㆍ경제를 고민하는 미래 세력 간 대결이 될 것 같다.”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한 지난달 3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만난 김태년 의원은 국회를 무법천지로 만든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사태를 보며 내년 총선 구도를 이같이 전망했다. 자유한국당이 도를 넘는 대여 투쟁으로 색깔론과 역사 왜곡, 이념 논쟁을 부추긴다면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경선에서 ‘친문 대표주자’로 평가 받는 김 의원은 원내대표로 선출되면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활성화 등 노사 간 사회적 대타협에 많은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전속고발권 폐지(공정거래법)ㆍ다중대표소송제 도입(상법) 법안을 임기 내에 반드시 처리해 경제민주화를 완성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카운터파트가 될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에 대해선 “패스트트랙 사태를 자초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한국당이 국회에 돌아올 수 있는 명분을 제시해 여야 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 의원과의 일문일답.
_패스트트랙 정국이 원내대표 선거의 변수로 될 것 같다. 야당과의 관계 회복이 중요해졌다.
“야당과의 협상력이 저의 강점이다. 정치개혁특위ㆍ예산결산특위 간사와 당 정책위의장을 지낼 때 늘 성과를 냈다. 국회가 지금처럼 격렬히 대치할 때 협상 경험이 풍부한 사람이 적임자라고 생각한다.”
_협상 상대는 여당과 전면전을 선포한 나경원 원내대표다.
“나 원내대표가 접점을 찾으려고 노력했다면 패스트트랙까지 안 갔을 것이다. 지금과 같은 국면은 나 원내대표가 자초한 측면이 있다. 보수층이 나 원내대표를 지지하니 도취된 것 같다. 지금은 그럴 때가 아니다. 한국당 내부에서도 ‘얻은 게 뭐냐’는 평가가 있을 것이다. 냉정하게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성찰해야 한다. 국회가 일할 수 있게 나서줘야 한다.”
_경쟁자인 노웅래ㆍ이인영 의원과 차별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집권여당 원내대표는 국정과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한다. 당ㆍ정ㆍ청 관계가 특히 중요하다. 저는 정책위의장을 하면서 당 중심의 당ㆍ정ㆍ청 관계를 만들었다. 그때 의원들과 정책이나 예산, 지역현안에 대해 늘 소통하며 ‘의원 감수성’을 높였다.”
-당 일각에선 이해찬 대표와 너무 가깝다며 친문 일색의 당 지도부 구성을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누가 그런 소리를 하나. 민주당에 친문이 아닌 사람이 있나.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정 과제를 구체적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당이 안정될 때 가능하다. 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신뢰를 갖고 호흡을 잘 맞추는 건 흠이 될 수 없다. 그 힘을 바탕으로 입법성과를 내야 한다.”
_원내대표 되면 내년 총선 공천과정에서 잡음이 안 나오게 할 수 있나.
“전혀 걱정 안 해도 된다. 내 머릿속에는 계파란 말이 없다. 민주당의 공천 룰이 매우 엄격하다. 시스템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개입할 여지가 거의 없다.”
_대통령이나 여당 지도부가 대기업 회장을 만나면 노동계가 반발하고, 노동계를 너무 감싸면 재계가 반발한다. 노사 문제를 어떻게 풀 생각인가.
“사회적 대타협 없이는 일자리, 사회안전망 확보,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등을 담보할 수 없다. 원내대표가 되면 노사 대타협 문제를 가장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싶다. 다만 국민이 볼 때 양측의 무리한 요구는 받지 않겠다.”
_원내대표가 되면 꼭 처리하고 싶은 개혁입법 과제를 말해 달라.
“지금까지 처리한 민생법안도 적지 않지만 공정거래법이 아직 처리되지 못했다. 38년 만에 전부개정안이 들어왔는데, 변화된 경제환경에 맞게 반드시 바꿔야 한다. 공정거래 틀을 만들기 위한 시급한 과제다. 또 혁신성장을 위한 빅데이터 3법과 국민 관심이 높은 유치원 3법도 처리하겠다.”
_정부와 여당에 대한 20대와 30대의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취업난이나 결혼 문제 같은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해 주지 못한 게 원인일 수도 있지만, 문화적으로 변한 젊은 세대의 가치관을 이해하는 데 매우 둔감했던 게 사실이다. 신기술과 신산업이 도입되면서 일자리 유형이 바뀌고 있기 때문에, 젊은 세대에 맞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강철원 기자 strong@hankookilbo.com
류호 기자 ho@hankookilbo.com
◇김태년(54) 의원
전남 순천 출생
순천고ㆍ경희대 졸업
개혁당 전국운영위원장
문재인 정부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17대ㆍ19대ㆍ20대 국회의원(성남 수정)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