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봉준호 감독이 영화 ‘옥자’로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처음 진출했을 때 프랑스 통신 AFP가 서울발로 그의 인터뷰를 다룬 적이 있었다. ‘블랙리스트에서 블록버스터로’라는 제목의 이 기사에서 봉 감독은 지난 정권을 돌이켜 “많은 한국의 예술인들에게 깊은 상처를 준 악몽 같은 몇 년간이었다”며 “영화계 누구나 무언가 심각하게 잘못되었다고 느꼈지만 그게 무엇인지 꼬집을 수 없었다”고 했다. 탄핵 과정에서 드러난 ‘블랙리스트’였다. 당시 한국영화감독조합 대표를 맡았던 그 역시 세월호 조사 지지 영화인으로 분류돼 리스트에 올랐다.
□ 봉 감독이 블랙리스트 명단에 든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 조사 및 제도개선 위원회가 낸 조사 보고서를 보면 영화인들은 유난히 이명박 정권에서 감시와 배제의 타깃이었다. 당시 국정원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82명 중 60명이 영화인이었는데, 봉 감독을 포함해 이창동, 박찬욱, 문성근, 권해효, 문소리, 김민선, 유준상 등이 망라됐다. 정권 초기부터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이라는 문건을 만들어 대중적인 파급력이 높은 영화를 집중 단속하려고 분주했던 결과였다.
□ 블랙리스트 진상 조사 보고서에는 이명박ㆍ박근혜 정권에서 블랙리스트 대상으로 지목한 상업영화 15편의 목록과 이유가 나온다. 봉 감독의 작품으로는 ‘살인의 추억’ ‘괴물’ ‘설국열차’가 포함되어 있다.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호평받은 이 작품들을 두고 “반미 및 정부의 무능을 부각시키며 국민 의식을 좌경화”(괴물)한다거나 “공무원ㆍ경찰을 부패 무능한 비리 집단으로 묘사해 국민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주입”(살인의 추억)한다고 평가한다. “시장경제를 부정하고 사회 저항 운동을 부추긴다”(설국열차)고 단정했다.
□ 표현의 자유를 적극 옹호한 학자로 자주 인용되는 토머스 에머슨 미국 예일대 교수는 “자유로운 토론을 억제”할 경우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은폐”해 결국 “사회를 불가피하게 분열과 대립, 그리고 파괴의 방향으로 몰고 갈 것”이라고 했다. 블랙리스트라는 역경을 거쳐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쾌거를 거둔 봉 감독을 보며 에머슨의 말대로 지난 정권의 문화예술인 억압이 결국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낳아 결국 그 정권의 몰락까지 불렀다는 사실을 새삼 되새기게 된다.
김범수 논설위원 bs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