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2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9차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를 계기로 한일 외교장관 회담 가능성이 거론된다. 일본의 전격적인 경제도발로 한일관계가 역대 최악으로 치달은 가운데 양국 외교장관이 3주만에 다시 만나는 것이다. 한일 양국은 추가적인 상황 악화를 막고 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는 데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관계 개선에 나설 분위기는 형성되기 시작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지금이라도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라고 밝힌 점은 주목할 만하다. 광복절의 역사적ㆍ정치적 상징성을 감안할 때 좀 더 높은 수위의 대일 메시지가 나올 것이란 예상이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우리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을 이유로 한 일본의 수출 규제는 분명하게 비판하면서도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일본도 고심하는 듯하다. 지난 2일 수출심사 우대국 명단(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면서도 추가 규제는 일단 미뤘다.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 여전히 강제동원 문제 해결책을 요구하지만 “상당히 온건하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나온다. 아사히신문이 아베 신조 총리에게 과거사 반성을 촉구하고 도쿄신문이 고위당국자들의 일방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등 대화를 촉구하는 여론도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시기적으로도 한일관계는 분기점을 맞고 있다. 24일에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ㆍ지소미아)의 연장 또는 폐기 여부가 결정된다. 28일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 시행일이고, 다음달에는 우리 측 조치도 실행에 들어간다. 지소미아 폐기는 한미일 안보협력 체제의 훼손과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양국 모두 안팎의 경제 상황으로 볼 때 서로를 향한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는 득보다 실이 훨씬 크다.
한일 양국은 역사 인식에서부터 쉽게 합의하기 어려운 갈등의 골이 있지만, 경제적으로든 외교안보 차원에서든 우호ㆍ협력의 길을 찾아야 할 필요성이 더 크다. 물론 일본의 반복되는 역사 부정을 막고 이번 같은 경제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내부의 역량 제고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