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기후ㆍ인권… 한국의 Z세대 목소리 들리나요?

입력
2020.01.09 04:40
8면
0 0

 [Z세대, 넌 누구니?] <3> “글로벌 이슈? 우리 일이죠” 

 경쟁적 교육ㆍ청년정치 외면 탓 한국선 파장 미미 

청소년기후행동 회원들이 지난해 9월 27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촉구하는 결석시위를 하고 있다. 청소년기후행동 제공
청소년기후행동 회원들이 지난해 9월 27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촉구하는 결석시위를 하고 있다. 청소년기후행동 제공

해외에서 Z세대가 떠들썩하게 세상을 바꾸는 동안 국내에서도 일부 Z세대는 교실 밖으로 뛰어나왔다. 기후변화 대응을 외치고 홍콩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는 등 꾸준히 목소리를 냈지만 사회를 흔드는 울림으로 커지진 못했다. 뿌리깊은 경쟁적 교육시스템과 열악한 청년의 정치참여 환경 속에서 기성세대는 아직 이들의 귀담아듣지 않는다.

지난해 8월 청소년기후소송단으로 출발한 ‘청소년기후행동’은 국내에서 Z세대가 주도하는 대표적인 모임이다.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기후파업이 벌어진 지난해 결식시위를 벌이며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렸다. 9월의 마지막 시위엔 약 500명의 학생들이 결석을 한 뒤 이들과 함께 했다. 청소년기후행동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 상대 소송도 준비하고 있다.

청소년기후행동 회원은 저마다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느낀 청소년이 하나 둘 모여 어느덧 80여 명이 됐다. 회원은 늘었지만 한국에서 고등학생이 환경운동을 하는 데 한계도 토로한다. 지난해 9월 유엔 청년기후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다녀온 김유진(18)양은 “결석시위를 현장학습체험으로 인정해주는 것도 학교의 재량이라 시위에 참가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많다”며 “경쟁적인 교육시스템에서는 기후행동 활동에 어려움이 많은 게 사실”이라고 했다.

청소년기후행동 김유진양이 지난해 9월 유엔 청년기후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방문한 미국 뉴욕에서 피케팅을 하고 있다. 청소년기후행동 제공
청소년기후행동 김유진양이 지난해 9월 유엔 청년기후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방문한 미국 뉴욕에서 피케팅을 하고 있다. 청소년기후행동 제공

국내에서 환경이 엄청난 이슈가 아닌 것도 서구 세계와의 차이점이다. 청소년기후행동에서 활동 중인 김도현(17)양은 “유럽에서는 청소년이 시작하니까 예전부터 같은 뜻을 가진 어른들이 ‘기후변화를 걱정하는 조부모의 모임’ 같은 것도 만들었는데, 우리나라에선 계속돼 왔던 기후변화 문제가 마치 새로운 의제처럼 다뤄지는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홍콩에서 민주화 시위가 거세진 지난해 홍콩의 참상을 국내에 알리며 홍콩 시민과 연대한 ‘홍콩의 진실을 알리는 학생모임’ 역시 대부분이 20대 초반 Z세대다. 홍콩에 친구가 없고 홍콩 관련 활동을 해본 적도 없는 젊은이들이다. 이 모임 박도형(22) 대표는 “정치성향을 비롯해 다른 점이 많았어도 ‘국가 권력이 시민을 탄압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마음만은 똑같다”고 말했다.

활동을 하다 보니 홍콩 시위에 연대하는 의미로 설치한 ‘레논벽’ 훼손 논란, 국내 중국인 유학생들과의 갈등 같은 예상치 못한 일도 벌어졌다. 기성세대가 정치적 잣대에 따라 연대활동을 평가하는 태도도 실감했다. 박 대표는 “집회신고를 위해 간 경찰서에선 보수단체 아니냐는 말을 듣고, 집회 때 ‘임을 위한 행진곡’을 틀면 보수 유튜버들이 트집을 잡기도 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11일 오후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검은 마스크를 착용한 박도형(앞줄 왼쪽) 공동대표를 비롯한 ‘홍콩의 진실을 알리는 학생모임‘ 학생들이 손팻말을 들고 홍콩과 중국 정부의 국가 폭력을 규탄하는 침묵행진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11일 오후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검은 마스크를 착용한 박도형(앞줄 왼쪽) 공동대표를 비롯한 ‘홍콩의 진실을 알리는 학생모임‘ 학생들이 손팻말을 들고 홍콩과 중국 정부의 국가 폭력을 규탄하는 침묵행진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Z세대는 자신들을 특별하게 바라보는 기성세대의 시선도 불편해한다. ‘청소년활동기상청 활기’의 난다 책임활동가는 “새로운 세대에게는 특별한 뭔가가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모두 동시대를 살아가는 존재”라며 “이들이 하는 이야기를 동떨어진 이야기로 받아들일 게 아니라 바꿔 나가야 할 현실의 문제로 봐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희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는 “Z세대가 변화의 파고를 넘어가는 과정에서 넘어져도 다시 일으켜 세워줄 수 있는 사회안전망 확충 노력도 더해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준기 기자 joon@hankookilbo.com

제보를 기다립니다

안녕하세요 제보해주세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