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센터 논란에 “‘돈만 밝히는 병원’ 평가는 지나쳐” 해명
이국종 아주대 교수를 향한 유희석 아주대 의료원장의 폭언 보도에 이어 아주대 병원 내 외상 환자 병상이 부족하다는 주장이 나오자 아주대 교수들이 “사실관계를 정리한다”며 해명했다. 이들은 “어느 한쪽의 주장만 다 맞고, 나머지 한쪽 주장이 다 틀린 건 아니다”라며 “‘돈만 밝히는 병원’이라는 평가는 지나치다”고 호소했다.
아주대 교수들이 설명에 나선 부분은 이 교수와 유 원장의 논란 중 ‘폭언’이나 ‘간호 인력 채용’에 관한 논쟁이 아닌 ‘외상 환자의 병실 배정’에 관한 논란이다. 이 교수는 앞서 “병원 측으로부터 병실을 배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아주대 병원은 “병원 리모델링 문제로 일시적으로 일부 병상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 외상센터 내에서 해결해달라는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아주대 병원 내부 교수로 알려진 신모 교수는 16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그 동안 아주대 병원 사정을 상세히 밝혔다.
먼저 외상환자 수 대비 병상 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 지원금의 제도적 한계가 문제라는 지적이다. 페이스북 글에서 신 교수는 “중증외상센터는 병원 예산과 정부와 경기도의 지원을 합쳐서 100병상 규모로 허가 받고 개설했지만 그 규모로는 일찌감치 소화할 수 없는 많은 외상환자를 보고 있다”며 “넘치는 외상환자는 결국 중증외상센터가 아닌 병원 본관에 입원시켜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본관에 외상환자를 입원시킬 경우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없지만, 그래도 어쩔 수 없으니 본관에도 일부 외상환자를 둘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었다.
아주대 병원 내 복잡한 속사정은 하나 더 있었다고 한다. 신 교수는 “상급종합병원 재지정 심사를 앞두고 입원환자 중증환자 비율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하는데, 당시 ‘간호 간병 통합 병동’ 증설을 위해 병원 내 일부 병동을 폐쇄하고 공사를 했다”며 “이 때문에 모든 과가 환자를 입원시키기 어려웠던 시기”였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이러한 상황에서) 외상환자 본관 입원이나 이동에 제동이 걸렸다”며 “외상환자진료에 차질이 생겨 이국종 교수가 이에 항의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해 과거 의료원장 폭언 녹취 자료와 함께 본관 입원제한과 관련된 증거를 언론에 제보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신 교수는 이 교수가 언론과 인터뷰에서 “본관에 병실이 150여개가 남아도는데도 노골적으로 주지 않았다”고 한 발언을 두고 “그만한 규모의 병상을 비울 수 없다”며 “다 인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병원에서 “리모델링 문제로 일시적으로 일부 병상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한 해명을 두고도 “6주 내내 공사하던 병동의 병상 수만 놓고 보면 150병상보다는 훨씬 적은 50명 남짓한 정도”라며 “물론 공사 중간에 위아래 병동을 1주일씩 닫았지만 동시에 3개 병동을 닫지는 않아 최대로 추정해도 100명 정도”이라고 반박했다.
신 교수는 이 교수 입장과 병원 측 해명을 종합했을 때 “결국 공사로 인한 일시적인 병상 부족과 상급종합병원 유지를 위해 외상환자의 본관 입원 제한정책이 모두 다 개입한 결과로 외상환자의 본관 입원이 한동안 마비된 거라 판단한다”고 정리했다. 그는 “이 교수의 주장도, 병원 당국의 주장도 종합해보면 어느 한쪽의 주장만이 다 맞고 나머지 한쪽의 주장은 다 틀린 게 아니다”라고도 강조했다.
신 교수는 정부의 상급종합병원 심사 과정 등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외상환자를 본관에 입원시켜도 이로 인해 재정적 지원이 줄어들거나 중증환자로 인정이 안 돼 상급종합병원 재지정에 불이익이 생기는 일이 생기면 앞으로도 이 같은 일은 계속 생길 것”이라며 “앞으로 누가 중증외상센터장을 맡아도, 누가 병원장을 맡아도 같은 상황”이라고 일갈했다.
아주대 병원의 김모 교수도 14일 이 같은 병원 내부 사정을 밝히며 “이런 상황을 놓고 ‘돈만 밝히는 병원’이라는 평가는 지나치다”며 “ (언행이나 태도의 문제와 별개로) 본관 병실이 펑펑 남아도는데 외상환자를 받아주지 않았다고 하는 건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또 “아주대 병원은 2018년부터 병상을 더 증설해달라고 보건복지부 심사평가원에 여러 차례 요구했지만 거절돼 지난해 연말 병상 증설 계획을 포기했다”고 덧붙였다.
이정은 기자 4tmr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