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간 취업자 수 102만명 감소
여성이 남성보다 22만명 더 줄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첫 두달동안 감소한 취업자가 102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8일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연구소)가 발표한 ‘코로나 위기와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취업자수(계절조정 반영)는 2,650만명으로 신종 코로나에 따른 고용 충격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전인 올해 2월(2,752만명)보다 102만명이 감소했다.
연구소는 이날 발표에서 신종 코로나에 따른 고용 충격을 따져봤다. 통계청이 계절적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월별 취업자 증감을 전년 동월 수치로 비교하는 것과 달리, 신종 코로나 위기가 고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올해 2월과 4월을 비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1년 전보다 48만명 감소, 21년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연구소는 신종 코로나가 2개월 동안 고용시장에 미친 충격이 통계청의 수치보다 더 크다고 본 셈이다.
2개월 사이 취업자 수가 102만명이나 줄어든 것은 역대급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 고용 충격이 본격화하기 직전인 1997년 12월 취업자 수는 2,122만명이었는데, 2개월 후인 이듬해 2월에는 2,030만명으로 92만명이 감소했다. 연구소는 “외환위기 때 14개월 동안 감소한 취업자 수가 160만명임을 감안할 때 앞으로 코로나 위기에 따른 취업자 수 감소 폭은 이를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2~4월 신종 코로나 위기로 감소한 취업자는 여성(62만명)이 남성(40만명) 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44만명)이 가장 타격을 입었고, 이어 15~29세 청년(21만명), 50대(19만명), 30대(18만명), 40대(16만명) 순이었다. 종사상 지위로는 임시직이 45만명이 줄어 감소폭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직과 서비스직이 각각 25만명씩 감소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소는 “코로나 위기에 따른 일자리 상실은 여성, 고령자, 임시일용직, 개인서비스업과 사회서비스업, 단순 노무직, 서비스직 등 취약계층에 집중되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이 없을 경우 한국 사회의 불평등을 더욱 심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소영 기자 sosyou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