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왜 죽이고 죽어야 했나" 한국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알림

"왜 죽이고 죽어야 했나"한국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입력
2020.06.23 16:29
0 0



1950년 7월 12일 한바탕 전투가 벌어진 금강 부근에서 미 육군이 촬영한 사진이다. 전사한 한 남성을 미군이 쳐다보고 있다. 눈빛출판사 제공

1950년 7월 12일 한바탕 전투가 벌어진 금강 부근에서 미 육군이 촬영한 사진이다. 전사한 한 남성을 미군이 쳐다보고 있다. 눈빛출판사 제공


1950년 7월 12일. 남한 금강 부근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뒤 미군 병사 한 명이 길가에 쓰러져 있는 남성을 물끄러미 쳐다보고 있다. 미 육군은 총 맞아 쓰러진 이 사람을 찍은 사진에다 '북한군 병사'라 적어뒀다. 하지만 군인이라기엔 이상하다.  흰 광목 바지저고리, 고무신, 밀짚모자, 떨어진 곰방대까지. 아무리 봐도 그냥 지나가던 주민 아니었을까. 진실은 알 길이 없다.


한국전쟁 직후 북한을 방문했던 프랑스 사진작가 크리스 마커가 찍은 북한 어린이 사진. 불안과 공포에 휩싸인 표정의 단발머리 소녀가 어린 동생을 들쳐 업고 황량한 들판을 애처롭게 헤매고 있다.? '북녘사람들'이란 책에 소장돼 있는 사진이다. 눈빛출판사 제공

한국전쟁 직후 북한을 방문했던 프랑스 사진작가 크리스 마커가 찍은 북한 어린이 사진. 불안과 공포에 휩싸인 표정의 단발머리 소녀가 어린 동생을 들쳐 업고 황량한 들판을 애처롭게 헤매고 있다.? '북녘사람들'이란 책에 소장돼 있는 사진이다. 눈빛출판사 제공


한국전쟁 발발 70주년, 한국 근현대사 사진을 전문적으로 수집하고 기획 출판해온 ‘눈빛’이 그동안 보관해놨던 미공개 사진에 해설을 넣어 ‘끝나지 않은 전쟁, 6ㆍ25’ 사진집을 펴냈다.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자료를 중심으로 출판사가 오랫동안 모아온 사진 300여장을 엮었다. 90% 이상이 처음 공개되는 자료다. 

사진집을 기획한 눈빛출판사 이규상 대표는 서문에서 ‘전화(戰禍)에 신음하는 한반도와 한민족의 모습’을 기록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전후 한국에서 출간된 사진집들은 오히려 전쟁을 고무하는 쪽에 치우쳤다. 이데올로기 전쟁이 남긴 그늘이다.


한국전쟁이 남긴 상흔 중 가장 충격적인 건 학살의 기억이다.? 1950년 국군과 인민군이 번갈아 가며 민간인 2,200여명을 학살한 전주형무소 집단 매장지 발굴 현장. 곡괭이, 몽둥이, 쇠꼬챙이, 칼 등 살인도구들이 함께 발견됐다. 2005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공식 조사에 돌입했으나 흐지부지 됐다. 지난해부터 전주시가 다시 조사에 착수, 유해 발굴에 나섰고 현재까지 34구를 수습했다. 눈빛출판사 제공

한국전쟁이 남긴 상흔 중 가장 충격적인 건 학살의 기억이다.? 1950년 국군과 인민군이 번갈아 가며 민간인 2,200여명을 학살한 전주형무소 집단 매장지 발굴 현장. 곡괭이, 몽둥이, 쇠꼬챙이, 칼 등 살인도구들이 함께 발견됐다. 2005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공식 조사에 돌입했으나 흐지부지 됐다. 지난해부터 전주시가 다시 조사에 착수, 유해 발굴에 나섰고 현재까지 34구를 수습했다. 눈빛출판사 제공


하지만 이 책은 전쟁의 이면과 참상을, 피아 구분 없이 부각했다. 이념과 권력 다툼, 얽히고설킨 국제정치란  영문도 모른 채 죽어야 했던 이들에겐 그저 허황된 이야기일 뿐이다. 

이념이 다르다는 이유로 남북이 차례로 좌익과 우익을 처형한 전주교도소의 집단 매장지, 서울 수복 후의 부역자 처형 사진 등은 처참했던 학살의 기록이자, 질곡의 역사다. 남이 북을 죽이고, 북이 남을 죽이며 인간은 야수와 괴물로 돌변했다. 


1950년 8월 8일 촬영된 사진. 검게 그을린 아이가 혼자 길가에 앉아 멀리서 들려오는 포성을 들으며 울고 있다. 눈빛출판사 제공

1950년 8월 8일 촬영된 사진. 검게 그을린 아이가 혼자 길가에 앉아 멀리서 들려오는 포성을 들으며 울고 있다. 눈빛출판사 제공


3년의 전쟁 기간 동안 한반도에서 목숨을 잃은 사람만 300만명(국방연구소 자료). 그 중 민간인은 남북한 각각 110만명씩, 총 220만명이 희생됐다. 홀로코스트 유대인 희생자가 600만명이었으니 한국전쟁은 제2의 홀로코스트라 할만하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우리의 홀로코스트는 동족간에 벌어졌고, 누구도 책임 지지 않고 70년을 묻어두고 지내왔다는 것. 학살사건은 피해자들과 유족을 연좌제로 꽁꽁 묶어 오랫동안 진상규명조차 불가능하게 했다. 


1950년 대전 근방에서 가재도구를 짊어진 피란민 가족이 아이들을 앞세우고 남으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눈빛출판사 제공

1950년 대전 근방에서 가재도구를 짊어진 피란민 가족이 아이들을 앞세우고 남으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눈빛출판사 제공


책은 말한다. 전쟁사진은 반전사진이 돼야 한다고. 전쟁의 참상을 보여줌으로써 전쟁을 거부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이 사진들을 보며 얻어야 할 것은 적개심이 아니라 전쟁은 다시는 반복돼선 안 된다는 교훈이다.

강윤주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