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19일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입장을 밝혔지만, 사과 수준에 머물렀다. 정 총리는 “이 사건을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재발을 막기 위해 내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고민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3일 피해자 측이 실체 규명과 수사 정보 유출ㆍ서울시 방조 의혹 수사 등을 요구한 지 엿새 만이다.
이 사건은 단순히 한 정치인의 개인적인 비위 의혹이 아니다. ‘소통령’으로 불리는 서울시장이 재임 중 4년에 걸쳐 성추행과 성희롱을 저질렀고, 정무라인을 포함한 참모진이 방조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사건이다. 고위 공직자 성범죄 예방 노력, 발생 시 사후 조치, 재발 방지 대책 등 구조와 제도 측면에서 접근이 필요한 사안인 것이다.
더구나 이 사건을 둘러싼 세 갈래 의혹 규명은 벌써부터 삐걱거리는 상황이다. 서울시의 민관합동조사단은 여성단체들이 불참해 난항을 겪고 있다. 피해자의 호소를 묵살했다는 의혹을 받는 서울시가 조사의 주체가 되는 건 애초 어불성설이다. 경찰은 수사의 핵심 증거인 박 전 시장의 휴대폰 3대에 대한 통신영장을 신청했지만 기각당했다. 애초 신청 사유를 타살 의혹 등 사망 경위에 맞춰 부실하게 적은 탓이란 지적이 나온다. 검찰은 검찰대로 수사 정보 유출건을 직접 수사할지, 경찰에 넘겨 지휘할지 고민 중이다.
결국 이 혼선을 정리하려면 청와대의 의지 표명이 불가피하다. 청와대가 나서서 성추행의 진상은 물론, 부수적으로 제기된 두 의혹까지 투명하고도 엄중하게 조사해야 한다는 뜻을 밝히는 게 수사기관의 부담을 덜어 주는 일이다. 수사 정보 유출 의혹과 관련해선 청와대 관계자가 비공식적으로 박 전 시장 측에 이를 알렸을 가능성까지 열어 둬야 하기에 성역 없는 수사가 필요하다. 특히 연달아 발생한 여당 소속 단체장의 성폭력 의혹을 문재인 대통령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국민의 눈과 귀가 쏠려 있음을 청와대는 직시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