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반일종족주의’ 격파하는 학계 종합비판서 나왔다
알림

‘반일종족주의’ 격파하는 학계 종합비판서 나왔다

입력
2020.08.27 11:28
21면
0 0
대학생들이 지난달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반일종족주의' 저자 이영훈 전 교수와 이우연 낙성대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류석춘 연세대 교수를 규탄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뉴스1

대학생들이 지난달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반일종족주의' 저자 이영훈 전 교수와 이우연 낙성대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류석춘 연세대 교수를 규탄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뉴스1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그래서 더 반가운 책이다. 지난해 역사 부정 논란에 불을 지폈던 ‘반일종족주의’를 조목조목 논파하는 책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를 두고 하는 말이다. 역사학계는 물론 법학, 의학 분야의 교수 18명이 이영훈 사단의 궤변에 맞서기 위해 뭉쳤다. 그간 학계의 반격이 산발적으로 이뤄져 시너지를 못 냈던데 반해 이번 책은 반일종족주의가 제기한 논점을 다 짚어냈다는 점에서 종합 비판서라 할만하다.

팩트체크는 충실하고 날카롭다. 위안부는 자유폐업이 가능했던 돈벌이 좋은 매춘부였다는 주장에 대해 강성현 교수는 실증사관의 외피를 둘러쓴 억지라고 지적한다.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해 정태헌 교수는 조선의 공업생산액이 8.4배 느는 동안 일본으로 빠져나간 생산재가 100배 이상 폭증한 것을 들어, ‘혜택 없는 개발’임을 꼬집는다.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ㆍ이철우, 박한용, 전재호, 홍종욱, 황상익, 강성은, 김창록, 이송순, 정태헌, 박찬승, 김상규, 강성현 외 지음ㆍ우석대 동아시아평화연구소 기획ㆍ푸른역사 발행ㆍ268쪽ㆍ1만6,500원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ㆍ이철우, 박한용, 전재호, 홍종욱, 황상익, 강성은, 김창록, 이송순, 정태헌, 박찬승, 김상규, 강성현 외 지음ㆍ우석대 동아시아평화연구소 기획ㆍ푸른역사 발행ㆍ268쪽ㆍ1만6,500원


이영훈 사단의 학문적 이력과 뉴라이트의 역사관과 배경을 파헤친 글도 눈에 띈다. “역사부정과 자기부정으로 점철된 말놀이”(이철우 교수), “뉴라이트의 위험한 역사 인식은 친미, 반공, 독재로 얼룩진 기득권 세력의 시대착오적인 몸부림”(박한용 교수)이란 진단이다.

이영훈 사단이 활개치도록 방치한 한국 역사학계에 대한 반성도 없진 않다. 김헌주 교수는 한국 역사학이 민족주의의 한계를 벗어나 마이너리티 인권, 생태환경사 등으로 진화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이제는 독자의 몫이다. 사실로 승부하자는 이영훈 사단의 반응도 기대된다. 역사는 정치가 아닌 학문으로 풀어야 한다.

강윤주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