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美 화웨이 제재에 맞선 中 첫 보복 대상은 시스코"
알림

"美 화웨이 제재에 맞선 中 첫 보복 대상은 시스코"

입력
2020.09.22 09:16
수정
2020.09.22 11:00
0 0

WSJ "중국, 미 기업 블랙리스트 작성"
반독점기구 동원, 후춘화 부총리 주도

지난해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해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화웨이 등 중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을 겨냥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전방위 제재에 맞서 중국도 구체적인 보복카드를 꺼내 들었다. 첫 타깃은 화웨이의 경쟁자 시스코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 “중국 상무부가 외국 기업과 개인에 대한 블랙리스트 작성 및 공개 시기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시스코가 ‘신뢰할 수 없는 기업’, 이른바 블랙리스트에 포함됐다고 덧붙였다. 시스코는 통신장비업체로 글로벌시장에서 화웨이의 맞수로 꼽힌다. 세부 명단의 얼개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지만 보복 절차는 이미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신문에 따르면 시스코는 장기간 거래하던 중국 국영통신업체들과 공급 계약이 끊겼다고 한다. 이와 관련, 시스코는 성명을 내고 “우리는 중국에서 다년간의 계약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최근 자국 업체들에 위약금을 물더라도 미 기업과의 계약을 파기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블랙리스트는 미 행정부의 중국 IT 옥죄기에 대항한 맞대응 조치임이 분명하다. 보복 대상을 추리는 업무부터 상무부를 비롯, 중국 반독점기구인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이 주도하고 있다. WSJ는 “외국인 투자 및 무역을 총관하는 후춘화(胡春華) 부총리가 목록을 작성해 최종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과 개인은 중국으로의 판매ㆍ구매, 투자가 원천봉쇄된다. 또 기업 임직원의 중국 입국이 제한되는 등 추가 조치 역시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다만 블랙리스트 공개 여부를 두고 중국 정부 내부에서 주저하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대미 무역협상을 담당하는 류허(劉鶴) 부총리는 보복 대상을 적시할 경우 미국이 더 가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우려를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때문에 11월 미 대선 결과가 나올 때까지 공개 시점을 미루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강은영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