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자료 읽느라 지문이 다 없어진 것 같아요!"
14일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만난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반질반질해진 손가락 끝을 보여 주며 말했다. 시각장애인인 그는 산더미 같은 국감 자료를 '손 끝'으로 짚어 읽어내린다. 책상 위엔 수천 쪽 짜리 자료가 '점역'(문자를 점자로 바꾼 것)된 상태로 쌓여 있었다. "의원회관 드나들 때마다 지문을 찍는데, 요즘은 지문 인식이 잘 안 될 정도"라면서, 그는 싱긋 웃었다.
점자 전쟁, 무한 리허설... '이런 국감 준비'
김 의원의 국감은 '점자와의 전쟁'이다. 그의 사무실인 의원회관 601호에는 점자 프린터가 "위잉위잉" 소리를 내며 쉼 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김 의원은 국감 자료를 점역본으로 받는다. 정부가 점역본을 따로 제작한다. 1쪽짜리 문서가 점역본으로 바꾸면 약 3쪽이 된다. 김 의원이 소속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의 이번 국감 피감기관은 56곳. 피감기관 1곳이 수백~수천 쪽 분량의 국감 자료를 제출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김 의원은 수만~수십만 쪽의 점역 문서를 3, 4주 안에 읽어야 한다.
김 의원의 국감 준비는 바쁘지만 느리다. 보좌진과 마라톤 회의 끝에 질의서를 만들면, 점역 전문 비서가 점자 질의서로 바꾼다. 준비가 이걸로 끝이 아니다. "바늘 하나 들어갈 틈 없이 촘촘한" 실전 준비를 해야 한다. 국감장에서 메모를 하거나 돌발 상황에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질의 시간 15분동안 벌어질 모든 상황을 가정해 리허설을 수없이 거듭한다.
질의서와 시나리오를 몽땅 외우고서야 김 의원은 국감장으로 향한다. 시각장애 안내견 '조이'와 함께다.
김 의원의 보좌진 10명 전원은 21대 국회 개원 전에 시각장애인을 이해하는 체험 교육을 받았다. '혼연일체'라고 불러도 될 만한 팀워크 덕에 '장애'가 '장벽'이 아닌 업무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 김 위원은 "저도 보좌진도 퇴근 시간이 없을 정도로 강행군"이라면서 "유독 국회에 있는 걸 좋아하는 조이는 '국감체질견(犬)'인 것 같다"며 또 웃었다.
"정부가 잘 한 건 잘 했다고 해야죠"
김 의원은 국감 철학은 다른 야당 의원들과 좀 다르다. 정권 공격만 하다 끝나선 안 된다고 믿는다. 정부가 잘 한 일엔 뜨거운 응원을 보낸다. 12일 문화재청 국감에서도 그랬다. 김 의원은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출판한 '천연기념물 멀티미디어 감각 책'을 들고 나와 국감장에서 시연했다. 특수 펜과 점자로 천연기념물 도감을 공감각적으로 구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책이다.
김 의원은 정재숙 문화청장에게 "문화재청의 훌륭한 사례 다른 부처 변화를 이끄는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 국감에서도 칭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다"고 응원했다. 정 청장도 "국감에서 칭찬받기는 처음"이라고 즐거워했다. 도종환 문광위원장은 "문화재청은 더 많은 시리즈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예산을 계산해 제출해 달라"고 힘을 보탰다.
김 의원도 '야성(野性)'이 뭔지 잘 안다. 그러나 "야당 의원 100명 중에 나 같은 사람 1명 쯤은 있어야 한다"고 굳게 믿는다. "국감에서 의원은 국민들이 진짜 질문하고 싶은 것을 물어야 하지 않나요. 저는 정치적 공방 속에 다뤄지지 않는 '틈'을 메우는 일을 하러 국회에 온 사람입니다." 그렇게 말하며 김 의원은 또 한번 빙그레 웃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