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민간대형병원? 대구동산병원 모델?... 병상 확보 ‘묘수’가 안 보인다

알림

민간대형병원? 대구동산병원 모델?... 병상 확보 ‘묘수’가 안 보인다

입력
2020.12.09 18:30
수정
2020.12.09 21:33
3면
0 0
9일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병상 부족을 막기 위한 컨테이너 이동병상 설치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9일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병상 부족을 막기 위한 컨테이너 이동병상 설치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이달 들어 매일 600명 안팎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병상 부족 사태가 현실화되자 병상 확보 해법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민간 대형병원에 '동원령'을 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자 현실성 없는 방안이라는 반론이 제기되고, 1차 유행 때처럼 수도권에 거점전담병원 몇 곳을 운영해야 한다는 대안도 나온다.


"중환자 병상 추가 확보하겠다"

윤태호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9일 "연말까지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을 전국에 154개, 수도권에 89개 추가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중환자 전담 치료병상은 모두 177개로, 이 가운데 43개가 비어 있다. 확진자가 집중 발생하고 있는 수도권에는 12개 병상만 비어 있는 상태다.

방역당국은 추가 병상 확보를 위해 우선 민간 대형병원인 상급종합병원의 협조를 최대한 구해보겠다는 방침이다. 윤 반장은 "현재도 병원장들과 협조를 위한 회의를 계속 하고 있고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도 별도 노력을 하는 중"이라며 "중수본 차원에선 (추가로) 약 10병상 정도를 확보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형병원들 사이에선 "현장 상황을 전혀 모르는 얘기"라며 반발하는 분위기다. 최상급 병원을 찾아온 암환자 등 기존의 중환자들을 내보낼 곳이 없는데다, 코로나19 환자를 수용할 경우 기존 중환자들은 감염에 취약한 기저질환자가 된다. 이 경우 기존 중환자에게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 상급종합병원 교수는 "대부분 병원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90%가 넘는데 당장 누워 있는 기존 중환자들을 어디로 보내라는 건지 모르겠다"며 "감염 예방을 위해서라면 의료진을 위한 별도 공간까지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중환자실 전체를 비워야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중환자를 수용하느라, 다른 중환자들을 몰아내는 풍선효과'가 극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얘기다.


"대구 동산병원처럼 수도권에 거점병원 지정해야"

의료계에선 중환자 수용 역량을 한 곳에 집중하는 거점전담병원을 지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란 주장도 나온다. 1차 유행 당시 대구 계명대 동산병원이 거점중환자 병원 역할을 맡았던 것이 한 예다. 수도권에다 동산병원 모델을 들여오자는 것이다. 생활치료센터 등에서 치료를 받다 증상이 심해지면 중환자 병상이 있는 대형병원으로 이동시키는 현재의 시스템 자체가 비효율적이라는 지적까지 있다.

김제형 고려대 의과대학 호흡기내과 교수는 "병원 한 곳에서 경증, 중등증, 위중증 환자를 모두 치료할 수 있는 전담병원을 만드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적절한 병원을 찾아 의료진을 재배치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방역당국도 이런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은 신중한 태도다. 윤 반장은 "일반적인 중환자병상을 뛰어넘는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거점중환자병상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며 "동산병원이 거점전담병원 역할을 했는데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일부 중환자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평가도 있다"고 말했다.


"컨벤션센터에다 임시병원을"

그러다 보니 체육관이나 컨벤션센터 같은 큰 공간을 빌려다 임시병원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실제 확진자가 연이어 발생하자 서울시는 중랑구 서울의료원에 48개, 다른 시립병원에 102개의 이동병상을 설치하는 등 '컨테이너 병상' 구축에 나섰다. 정부는 이를 '모듈 병상'이라 불렀다. 송은철 서울시 방역관은 "서울의료원 이동 병상은 10일 설치 완료 예정"이라며 "차단벽을 설치해 인근 어린이집 등과 동선을 분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체육관이나 컨벤션센터를 개조해 병원으로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유럽이나 중국 우한과 같이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택할 수 있는 부득이한 대안"이라며 "하루 1,0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왔을 때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병상은 물리적 공간뿐 아니라 함께 들어갈 의료진도 필요하다. 감염병예방법에는 비상 시 의료 관련 인력을 동원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고려할 단계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유환구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