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제이넵 투펙치 교수, 이주형 교수팀 연구 결과 소개
1.4만회 공유되는 등 한국보다 미국서 더 주목 받아
LA타임스 "2m 이상서도 공기 흐름 등으로 감염"
"한국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한 공간에 6.5m(21피트) 떨어져 있었는데도 감염될 수 있다고 한다. 그것도 5분 만에."
이 한마디가 미국인 2만3,000여 명의 마음을 움직였다. 이들은 '좋아요'를 누르면 호응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위터에서 공유만 1만4,000회를 넘겼다.
1일 전북대 의대 이주형 교수팀은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조사 시스템을 활용, 6월 17일 전북 전주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A씨의 감염 경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핵심은 "에어컨이 가동되는 실내에서는 6.5m 거리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 해당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렸다.
폐쇄회로(CC)TV 확인 결과 A씨는 전북 전주의 한 식당에서 B씨와 6.5m 가량 떨어진 자리에 앉았다. 역학 조사 결과, A씨와 B씨는 단 5분 동안 같은 식당 안에 있었지만 A씨는 확진자 B씨로부터 코로나19에 감염됐다.
기술사회학자인 제이넵 투펙치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는 이를 4일(현지시간) 트위터에 인용했다. 그리고 일주일도 안 돼 미국 누리꾼들 사이에 큰 화제가 됐다.
"밀접접촉 기준 달라져야… 방역 당국도 지침 갱신해야"
미국 언론도 이 사실을 비중있게 다뤘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LA)에 본사를 둔 LA타임스는 9일(현지시간) 이 교수의 연구 결과를 집중 보도했다.
매체는 이 교수와 인터뷰를 통해 "이번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기준인 2m보다 더 먼 거리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방역 및 역학 조사의 지침은 이러한 점을 반영해 새롭게 만들어 져야 한다"고 전했다.
해당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감염병 전문가 승권준씨도 LA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15분 이내, 2m 이내'라는 '밀접 접촉'의 기준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일반 대중 중에서는 이 내용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해당 연구가 최근 한국 내 하루 신규 확진자 발생이 600명을 넘나드는 시점에 발표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신문에 따르면 중국 광저우에서도 7월 이뤄진 한 연구에서 3피트(약 0.91m) 떨어진 테이블에서도 에어컨 가동에 따른 공기 흐름 때문에 한 식당에서 같은 시간 대에 식사한 10명이 양성 판정을 받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8월 경기 파주의 한 스타벅스 매장에서 2층 천장 에어컨 아래에 앉아 있던 한 확진 여성에 의해 다른 손님 27명이 집단 감염됐다는 사실도 상세히 소개했다.
"한국의 추적 역학 조사가 우리에게 중요한 정보를 준다"
투펙치 교수는 자신의 SNS에 "우리(미국)는 이런 확진자 추적 조사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한국이) 부럽다"며 "이 놀라운 식당 사례 연구를 소개했다. 많은 분들이 (한국의) 조사가 상세하고 매우 잘 이뤄졌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국 연구진은) CCTV 분석과 감염 경로 추적 그리고 공기 흐름도 따져 봤다"라며 "이런 종류의 꼼꼼한 현장 역학 조사가 우리에게 (코로나19의) 감염 경로에 대해 얼마나 소중한 정보를 제공하는지 새삼 알게 된다"고 덧붙였다.
투펙치 교수는 결론적으로 "결국 실내든 실외든 마스크를 잘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확인한다"라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