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복지사각 지대 '언택트 예방책' 고심하는 지자체들

입력
2020.12.28 20:00
28면
0 0

편집자주

이왕구 논설위원이 노동ㆍ건강ㆍ복지ㆍ교육 등 주요한 사회 이슈의 이면을 심도깊게 취재해 그 쟁점을 분석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코너 입니다. 주요 이슈의 주인공과 관련 인물로부터 취재한 이슈에 얽힌 뒷이야기도 소개합니다.

한 복지공무원이 취약계층 가정을 찾아 '스마트 플러그'를 설치한 뒤 이를 점검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한 복지공무원이 취약계층 가정을 찾아 '스마트 플러그'를 설치한 뒤 이를 점검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의 한 영구임대아파트에 혼자 살고 있던 50대 남성 A씨. 간경화 말기로 한 달에 두세번 응급실 신세를 져야 하고 다리도 불편해(중증장애) 거동도 쉽지 않았다. 유일한 혈육인 남동생이 있지만 기껏해야 몇 달에 한 번 들여다 보는 형편이었다.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노동 능력도 없는 전형적인 돌봄 취약계층인 A씨의 안위를 챙겨본 이는 가족도 이웃도 아닌 동 주민센터.

코로나 유행으로 자주 찾아갈 수 없어 안부전화를 거는 식으로 A씨의 상태를 살폈지만 안전을 확신할 수는 없었던 주민센터는 지난 10월 사물 인터넷(IoT)기기를 A씨 집에 설치했다. IoT 기기에는 대상자의 동작, 온도, 습도, 가스누출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리모컨 크기의 센서가 설치돼 있는데, 센서에 A씨의 움직임 등이 감지되지 않으면 8시간마다 주민센터로 경고신호를 보내도록 돼 있다. 기기를 설치한 3주가 조금 지난 지난달 초 주민센터에서는 A씨의 움직임이 없는 걸 감지하고 집으로 전화를 걸었다. 전화를 받지 않자 다급히 집을 찾았더니 A씨가 의식을 잃은 채 피를 토하며 쓰러져 있어 즉시 응급실로 옮겨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코로나 유행으로 대면 접촉이 어려워짐에 따라 지자체들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의 고독사 등 사고를 막을 '언택트 예방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A씨처럼 중증질환자, 관계단절자, 고령, 자살 위험군 등 취약가구에 IoT 기기를 설치해 안전을 확인하는 사업(취약어르신 안전관리 솔루션 사업)이 대표적이다. 서울에서는 2017년부터 양천구와 중구 등에서 사업이 시작됐고, 올해 코로나 유행으로 5,000가구에 추가 설치돼 총 1만 가구에 기기가 설치됐다.

고독사 위험이 높은 중장년(50~64세) 1인 가구를 대상으로 TV, 컴퓨터 등 자주 사용하는 가전기기의 전원에 전력량을 모니터할 수 있는 ‘스마트 플러그’ 를 설치하는 사업도 활발하다. 전력량의 증감에 따라 24, 36, 50시간을 주기로 위험신호를 주민센터 담당자에게 전송해 위기상황에 대처하도록 한다. 서울의 경우 17개 자치구 3,102명의 중장년 1인 가구에 3,935개의 스마트 플러그가 설치돼 있다. 이밖에도 고독사 위험이 높은 계층의 스마트폰에 지정된 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으면,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구호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안심 서비스앱’을 설치하는 지자체도 늘어나고 있다.

코로나 유행이 장기화하고 있는 만큼 복지 현장에서도 이 같은 비대면 방식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박수진(37) 서울 양천구 목동 실버복지문화센터 사회복지사는 “감염 우려 때문에 방문을 사양하는 경우가 지난해보다 20~30% 정도 늘어난 것 같다”면서 “다양한 비접촉서비스를 취약 가구의 위기 예방에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거동을 감지할 수 있는 IoT 센서를 어르신이 바라보고 있다. 서울시 제공

거동을 감지할 수 있는 IoT 센서를 어르신이 바라보고 있다. 서울시 제공


이왕구 논설위원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