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울산시, 월 최고 35만원 신혼부부 주거비 지원… '전국 최대'
알림

울산시, 월 최고 35만원 신혼부부 주거비 지원… '전국 최대'

입력
2021.01.13 08:34
수정
2021.01.13 16:17
0 0

울산형 스마트 뉴딜, 임대료 최대 25만, 관리비 10만원
최장 10년 지원… '주거 안정성' 확보, '저출생 극복' 모색

송철호 울산시장이 13일 오후 울산시 북구 송정 행복주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신혼부부 주거비 무상지원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울산시는 오는 4월 1일부터 2030년 12월 31일까지 최장 10년간 823억원을 투입해 신혼부부 3만3,700가구 월 임대료와 관리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19∼39세 이하 신혼부부로 혼인 기간이 10년 이하여야 한다. 월 임대료는 최대 25만원, 관리비는 최대 10만원까지 출생 자녀 수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 관리비 지원은 1자녀 이상부터 해당된다. 뉴스1

송철호 울산시장이 13일 오후 울산시 북구 송정 행복주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신혼부부 주거비 무상지원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울산시는 오는 4월 1일부터 2030년 12월 31일까지 최장 10년간 823억원을 투입해 신혼부부 3만3,700가구 월 임대료와 관리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19∼39세 이하 신혼부부로 혼인 기간이 10년 이하여야 한다. 월 임대료는 최대 25만원, 관리비는 최대 10만원까지 출생 자녀 수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 관리비 지원은 1자녀 이상부터 해당된다. 뉴스1


울산시는 청년의 주거안정을 돕고 심각한 인구절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울산형 뉴딜의 하나로 전국 최대 규모의 신혼부부 주거비 무상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송철호 시장은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13일 오후 2시 신혼부부들이 많이 거주하는 송정 행복주택에서 현장 기자회견을 열고, 결혼과 출생율 급감에 따른 인구 감소 극복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신혼부부 주거비 지원 방침과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밝혔다.

이 사업은 4월 1일부터 2030년 12월 31일까지 최장 10년간 총 사업비 823억원을 투입해 신혼부부 3만3,700가구를 지원하게 된다.

지원 대상은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19~39세 이하 신혼부부로 혼인기간이 10년 이하여야 하며 월 임대료는 최대 25만원, 관리비 최대 10만원까지 출생 자녀수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최장 10년까지 무상 지원한다.

사업 시행 첫 해인 올해는 신혼부부 1,300가구에 임대료 19억원, 880가구에 관리비(1자녀 이상) 5억원 등 총 24억원을 지원한다.

울산시는 주거비 지원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협의를 진행 중이며, 세부사항 조율을 마치는 대로 읍면동 별 사업설명회를 열고 사전 홍보를 실시하기로 했다.

사업신청은 3월 무렵 시작되며 4월부터는 신혼부부 주거비 지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울산시는 국토부의 '2019 주거실태조사'에서 주거비 부담이 결혼과 출산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신혼가구에 최장 10년간 공공주택 임대료와 관리비를 지원, 청년층의 주거안정에 기여하고 저출생 문제도 극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입지조건이 우수한 혁신도시 내 공공청사 부지에 울산형 행복주택을 건립하는 계획도 전향적으로 검토 중이다.

송철호 시장은 "신혼부부 주거비 무상지원 정책은 시민 누구에게나 안정적이고 쾌적한 주거 여건을 제공하겠다는 울산시의 확고한 의지이자 약속"이라며 "이번 정책이 아이 낳기를 고민하는 부부들의 출산 결심을 돕는 하나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창배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