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서울에만 약 32만호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한 4일, 서울 용산구 동자동 일대는 개발 기대감으로 들썩였다. 오정자 후암1구역 재개발추진위원장은 “오래 전부터 개발 노력을 해 온 곳이라 주민들은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라며 “이웃인 쪽방촌 주민들의 주거공간이 없어지지 않도록, 임대주택을 함께 공급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주민들이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서울역 건너편에 위치한 4만5,000㎡ 규모 동자동 후암특별계획구역 1구역 1획지는 2·4대책 주택공급방안 중 하나인 역세권 고밀개발계획 후보지에 포함됐다. 오 추진위원장은 “사업 대상지 최종 선정을 앞두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개발이 차일피일 미뤄졌던 이곳은 용적률을 700%까지 높인 신주거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용적률은 부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이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고밀 개발이 가능하다.
크게 상기된 지역 분위기와 달리 부동산중개업소는 한산했다. 부동산 대책이 나올 때마다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 부동산중개업소에 전화 문의가 빗발쳤던 이전과 전혀 다른 모습이다. 동자동 소재 D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2·4대책 발표일 이후 사업구역 내 부동산을 매입한 사람에겐 우선공급권을 부여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매수 문의가 끊겼다”고 말했다.
공공재개발에 관심 있는 곳 중 상당수가 ‘공공직접시행 정비사업’에도 관심을 표해 공공이 참여하는 재개발ㆍ재건축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높아졌다. 공공직접시행 정비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ㆍ서울도시주택공사(SH) 주도로 재개발ㆍ재건축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는 것으로 이번 대책에서 새로 도입됐다.
앞서 지난달 공공재개발 1차 후보지 8곳을 발표한 서울시는 성북 1ㆍ5구역, 한남 1구역 등 54곳의 신청 사업장에 대한 2차 후보지를 검토 중이다. 여기에 선정되지 않은 사업장 중 다수가 공공직접시행 정비사업으로 사업 추진방향을 돌릴 수 있다는 얘기다. 오병천 성북1구역 재개발추진위원장은 “3월 말 최종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데, 선정이 안 될 경우 공공직접시행 정비사업에 지원하는 것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사업성이 좋아 서두를 필요가 없는 강남 소재 주요 사업장은 여전히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서울 송파구 소재 잠실주공 5단지의 정복문 조합장은 “사업 참여 제안을 받은 적도 없고, 참여할 필요도 못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역 주변이 준공업지역으로 묶여 있는 지하철 2호선 당산역ㆍ문래역, 5호선 양평역 주변 주거지에서도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곳이 지역구인 김정태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은 “지역주민들이 다양한 개발방식에 대해서 의견을 나누고 있어 적절한 제안이 있다면 개발 물꼬가 쉽게 트일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토부가 이날 발표한 공급대책에는 역세권ㆍ준공업ㆍ저층노후지역을 입지별 특성에 맞게 개발하면서 주택까지 공급하는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도 담겼다. 면적이 5,000㎡ 이상인 준공업지역은 스타트업 육성 공간과 연구개발(R&D) 센터, 청년기숙사 및 주거단지가 어우러진 ‘주거산업융합지구’로 개발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