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시원섭섭하다

입력
2021.02.10 04:30
25면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졸업의 때가 돌아왔다. ‘빛나는 졸업장을 타신 언니께’는 학창시절을 거친 누군가에게 아련한 노랫말이다. ‘잘 있거라 아우들아, 정든 교실아’ 부분에서 목메던 기억도 생생하다. 3년 혹은 6년이라는 긴 시간을 잘 끝내는데, 후련하기는커녕 서운하다. 아쉽고 애틋한 그 심정이 ‘석별의 정’으로 충분할까? 한편으로는 흐뭇하고 가뿐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섭섭한 마음, 이것이 ‘시원섭섭하다’이다. 누구에게나 희로애락이 있지만, 감정은 한 가지로 고정되지도 표상되지도 않는다. 사고와 마음이 유연하게 확장되기 때문이다. 때로는 ‘시원하다’는 말로 뜨거운 물속의 개운함을 나타내고, 맛 표현인 ‘고소하다’로 미워하는 사람의 잘못됨을 재미있게 말하기도 한다.

복합적인 감정언어는 다른 말에도 있다. 영어에도 시원섭섭하다는 ‘bittersweet’, 비애와 분노가 뒤섞인 ‘upset’이 있다. 덴마크어 ‘Hygge’는 일상에서 느끼는 사소한 행복감을, 네덜란드어 ‘Gezellig’는 따뜻한 포옹 같은 아늑함을 표현한다. 독일어 ‘Waldeinsamkeit’는 숲속에서 느끼는 편안한 고독감을, 포르투갈어 ‘Saudade’는 사랑하는 이를 잃고서 느끼는 짙은 그리움을 뜻한다. 문화에 따라 다른 이러한 감정은 번역되지 않는다.

시원섭섭함, 미운 정(情), 한(恨), 신명 같은 말도 그러하다. 사전에서 ‘한’을 원망과 슬픔의 응어리로, ‘신명’을 흥겨운 멋으로 밋밋하게 풀이하는 것도 그 한계 때문이다. 이런 한국인의 감정이 영화와 가요에 담겨 한류가 된 것을 보면, 감정언어란 원래 풀어내는 것이 아니라 그저 느끼는 것인가 보다.

이미향 영남대 국제학부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