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출근해 최종 거취 밝힐 듯
청와대 "숙고 후 복귀 기대" 불구
민주당 "사표 수리가 낫다" 싸늘
‘사의 파동’의 주인공인 신현수 청와대 민정수석이 22일 출근해 최종 거취를 밝힌다. 신 수석은 최근 검찰 간부 인사 결정 과정에서 배제되자 사의를 표명했고, 18일부터 휴가 중이다.
21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신 수석은 그만 두겠다는 생각이 확고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 인사는 방아쇠가 됐을 뿐, 당정청의 ‘검찰 강경론’에 신 수석이 깊은 회의감을 느끼고 이미 심경 정리를 했다는 전언이 많았다. 청와대는 주말 내내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공개적으로 발신했지만, 더불어민주당 강경파들은 '어차피 나갈 사람'이라는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복귀해도 역할 없다' 무력감 휩싸였나
신 수석은 이미 돌아오지 않을 강을 건넜다는 관측이 많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21일 “신 수석은 18일 휴가를 내면서 '사표를 처리해 달라'는 입장이었던 것으로 안다”며 "김조원 전 민정수석이 청와대를 떠날 때와 같은 수순"이라고 했다. 서울 강남 아파트 매각을 거부한 김 전 민정수석은 지난해 8월 사의 표명을 한 뒤 휴가를 떠났고 끝내 복귀하지 않았다.
‘복귀해 봐야 역할이 없다’는 무력감이 신 수석의 사의 표명 배경으로 지목된다. 검찰 출신인 신 수석은 감사원 출신 김조원ㆍ김종호 전 민정수석 체제에서 약화된 민정수석실 역할을 강화하고, 무엇보다 민주당 주도의 '검찰개혁 속도전'을 보완하는 것을 본인의 소임이라고 여겼다고 한다. 그러나 당정청의 '강경론'에 밀려 별다른 역할을 찾지 못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한 민주당 의원은 “정권 차원의 검찰개혁 방향과 순서가 이미 정해진 상황에서 신 수석이 ‘검찰과의 관계 회복’을 이유로 제동을 거는 것은 처음부터 무용했다"고 했다. 이에 신 수석이 '돌아가도 박범계 법무부 장관을 둘러싸고 있는 여당 강경파에게 밀릴 수밖에 없다'는 판단을 했다는 것이다. 신 수석은 20일 "이미 저는 동력을 상실했습니다"는 문자 메시지를 주변에 보낸 것으로 알려진다.
민정수석 역할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과 신 수석의 생각이 처음부터 달랐던 것이 파국이 근본 이유로 꼽히기도 한다.
'직'에 얽매이지 않는 것은 신 수석 스타일이다. 신 수석은 2018년 8월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 취임 1년만에 돌연 사퇴했다. 당시 서훈 국정원장과 대북 예산집행에 동의하지 않은 것이 사퇴 배경이란 설이 많았다. 노무현 정부 청와대 사정비서관이었던 2005년엔 '검찰로 돌아가 조직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며 검찰 옷을 벗기도 했다.
청와대는 "복귀 기대" vs 민주당은 "빨리 정리를"
청와대는 신 수석 복귀를 기다리는 제스처를 취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0일 신 수석 사의 배경을 둘러싼 보도가 잇따르자 “무리한 추측 보도 자제를 당부 드린다”는 문자메시지를 기자들에게 보냈다. '신 수석이 복귀할 수 있도록 자극하지 말아달라'는 뜻이었다.
민주당 분위기는 정반대였다. '청와대 참모로서 문재인 대통령에 반기를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는 강경론이 끓었다. 법제사법위 소속 다른 의원은 “청와대 참모 한 명이 본인의 자존심을 내세워 국정 전반을 흔들고 있다”며 “신 수석 문제를 빨리 정리하는 게 낫다”고 했다. '청와대도 신 수석을 보내 주기로 이미 정리했으나, 후폭풍 때문에 붙잡는 태도를 취하는 것'이라는 관측도 일부에서 나왔다.
후임 민정수석 결정까진 잔류 가능성도
신 수석 주변에선 “후임 민정수석이 정해질 때까진 잔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문 대통령을 각별히 생각하는 신 수석이 마지막 신의를 발휘해 ‘완충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얘기다. 신 수석의 사정을 잘 아는 한 인사는 “신 수석이 당장 그만둘지, 후임자를 찾을 때까지 기다렸다 그만 둘지를 놓고 주말 내내 고민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