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신장 위구르, 홍콩...中 민감 현안 전방위 압박한 미국

알림

신장 위구르, 홍콩...中 민감 현안 전방위 압박한 미국

입력
2021.03.21 20:00
수정
2021.03.21 22:01
8면
0 0

난타전 칭찬, 인도에 손짓… 美가 中에 '시위'?
'알래스카 담판' 거치며 美中 공수 전환 모양새도
WP "바이든 정부, '늑대전사' 외교 맛봤다"

미국의 토니 블링컨(왼쪽)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19일 미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1박 2일 일정의 미중 고위급 회담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앵커리지=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의 토니 블링컨(왼쪽)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19일 미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1박 2일 일정의 미중 고위급 회담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앵커리지=로이터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뒤 미중 간 첫 대면인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에서 양측이 정면 충돌하며 미중관계의 서막을 거칠게 올렸다. 동맹을 규합해 인권 탄압을 일삼는 중국을 혼내 주겠다고 벼른 미국은 신장 위구르족과 홍콩 문제 등 민감한 현안을 모두 꺼내 들었다. 회담장에서 큰소리를 치며 맞선 중국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북한 문제를 논의하고, 기후변화 협의를 이어가기로 하는 등 타협 지점도 보였지만 경제·군사·인권 문제 전반에서 향후 미중 갈등이 고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공동 발표문 없는 종료는 예상된 결과였다. 18일(현지시간)부터 1박 2일간 미 알래스카주(州) 앵커리지에서 진행된 미중 회담은 19일 각자 기자회견을 갖는 식으로 마무리됐다. 끝까지 “존중하라”고 요구한 중국은 의기양양한 모습이었다. 상호 입장 차 확인을 위한 상견례 성격의 회담이었던 만큼 할 말을 다 했으니 소기 목적이 달성된 데다, 미국이 예상하지 못한 공개 난타전을 유도해 대등해진 위상을 과시하고 기선도 제압했다는 게 중국 측 자평이다.

미 블룸버그통신은 “아무 성과도 발표하지 못했다는 것은 회담 전 설정한 낮은 기대치에도 이르지 못했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는 “바이든 정부가 중국의 ‘늑대 전사’ 외교를 처음 제대로 맛본 것 같다”고 평가했다. 늑대 전사는 중국의 애국주의 흥행 영화 제목(전랑ㆍ戰狼)으로, 늑대처럼 힘을 과시하는 외교를 가리킨다.

미국 측은 겉으로는 차분했다. 회담 종료 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중국의 행동에 대해 동맹들과 공유하는 우려를 전하고 미국의 정책과 원칙, 세계관을 제시했다”고 했다. 신장 문제부터 홍콩, 티벳, 대만, 중국의 사이버 공격 이슈를 두루 제기했다는 점도 확인했다. 동시에 북한, 이란, 기후변화 같은 미중 간 협력이 필요한 의제도 다뤘다.

사실 미국이 인식하는 중국의 위상은 이미 유일한 패권 라이벌 수준이다. 19일 아시아계 미국인 지도자와의 면담 등 연쇄 총격 여파 수습을 위한 일정을 소화하러 조지아주(州) 애틀랜타로 향하는 길에 나온 “(난타전을 벌인) 국무장관이 아주 자랑스럽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칭찬 발언엔 더 이상 중국을 만만히 보지 않는 미국의 위기감이 반영돼 있다. 한 수 아래 상대와 겨룬다는 여유가 이제 없는 것이다.

15~18일 한일 순방 뒤 블링컨 장관과 헤어진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행선지를 인도로 택한 것도 중국을 의식한 결과다. 대중 시위 성격이 짙다. 미국 주도의 중국 견제용 인도ㆍ태평양 협의체 ‘쿼드’(Quad) 4개국 중 중국에 의한 원심력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나라가 인도인 만큼, 쿼드 정상회의(12일) 뒤 열흘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각료를 보내 대면 접촉을 시도했다는 사실은 미국이 인도 단속에 얼마나 신경을 쓰는지 보여준다.

중국 정부가 군과 국영회사 임직원들의 미 전기차 업체 테슬라 차량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에 “스파이 짓이 사실일 경우 공장 문을 닫겠다”며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직접 부인하고 나선 것 역시 상대국 업체 때리기가 미국의 전유물이 아니란 사실을 환기시킨다. 테슬라의 지난해 전 세계 판매량 30%가 중국 시장에서 나왔고, 테슬라의 타격은 친환경 정책을 공언한 바이든 정부에도 타격이다.

워싱턴= 정상원 특파원
권경성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