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각 지역마다 인구 줄었는데… 中 전체 인구는 어떻게 늘었나
알림

각 지역마다 인구 줄었는데… 中 전체 인구는 어떻게 늘었나

입력
2021.05.11 17:25
수정
2021.05.11 17:45
6면
0 0

[중국 인구 센서스 발표 의문]
작년 1,173만 명↑, 증가세 감소하다 돌연 급증
곳곳서 인구 감소 아우성, 신생아 수 매년 급감
발표시점 한 달 늦춰 논란 "정부, 마지못해 발표"

3일 중국 베이징 톈안먼 앞에서 어린이들이 사진을 찍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1일 2020년 실시한 인구 조사 결과 “중국 총인구는 14억1,178만 명이라고 밝혔다. 베이징=AP 뉴시스

3일 중국 베이징 톈안먼 앞에서 어린이들이 사진을 찍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1일 2020년 실시한 인구 조사 결과 “중국 총인구는 14억1,178만 명이라고 밝혔다. 베이징=AP 뉴시스

지난해 중국 인구가 1,173만 명 증가한 것은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2019년 467만 명 늘어난 것에 비해 증가 폭이 2.5배나 크다. “60년 만에 중국 인구가 감소할 것”이라는 서구의 관측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중국 각 지역에서 인구 감소로 아우성인데 전체 인구가 증가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석연치 않다는 지적도 무성하다.

중국 국무원은 11일 “지난해 전체 인구가 14억1,178만 명”이라고 밝혔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공개한 2019년 인구는 14억5만 명이다. 중국 인구는 2015년 한 자녀 정책을 폐기하자 이듬해인 2016년 전년보다 809만 명 깜짝 증가했다. 하지만 이후 증가치는 2017년 737만 명, 2018년 530만 명, 2019년 467만 명으로 매년 줄었다. 따라서 2020년 1,173만 명이나 급증한 것은 이례적이다.

그래픽=김문중 기자

그래픽=김문중 기자

물론 방식이 다르기는 하다. 국무원이 10년마다 발표하는 인구 총조사(센서스)는 직접 가정을 방문해 집계한다. 반면 통계국 자료는 매년 출생자에서 사망자를 빼 산출한다. 과거 금지된 둘째 자녀를 뒤늦게 신고하는 ‘출산 퇴적효과’를 감안하더라도 두 수치 간에 차이가 너무 커 납득하기 어렵다.

중국 매체들은 국무원 발표에 앞서 ‘인구 감소’ 경고를 보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6일 중국 14개 도시를 예로 들어 “가난한 동북지역뿐만 아니라 동부 연안의 발전된 지역도 인구가 줄고 있다”고 우려했다. 수도 베이징의 경우, 지난해 신생아는 10만368명으로 전년 대비 24.3% 감소해 최근 10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 연간 신생아 수도 2016년 1,786만 명에서 2019년 1,465만 명으로 급감하는 추세다. 펑시저(彭希哲) 푸단대 사회개발공공정책학원 교수는 “동북지역은 출산율이 원래 낮은 데다 경기 침체로 인구 유출이 많고, 동부 양쯔강 삼각주의 경우 아이에 대한 욕구가 낮아져 인구가 감소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10월 집을 찾아온 인구 센서스 요원이 조사를 마치고 준 기념품. '제7차 전국인구총조사'라고 적혀있다. 외국인도 2010년 센서스부터 통계에 포함된다. 당시 가족의 여권을 모두 보여주며 각종 질문에 답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지난해 10월 집을 찾아온 인구 센서스 요원이 조사를 마치고 준 기념품. '제7차 전국인구총조사'라고 적혀있다. 외국인도 2010년 센서스부터 통계에 포함된다. 당시 가족의 여권을 모두 보여주며 각종 질문에 답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중국이 인구 통계 발표를 늦추면서 논란과 불신을 키웠다.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3월 15일 기자회견에서 “인구 센서스 결과를 4월 초에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아무런 발표 없이 미적대는 사이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2020년 중국 인구가 14억 명 아래로 떨어졌다”고 타전했다.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인구 감소는 1959~1961년 '대약진 운동'에 따른 대기근 이래 60년 만에 처음이다. 당시 공식 사망자 1,350만 명, 비공식적으로는 3,000만 명 이상 숨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국가통계국은 다음 날인 29일 홈페이지에 “지난해 중국 인구는 계속 증가했다”는 한 줄짜리 짤막한 반박문을 올렸다. 중국 정부의 고민이 묻어나는 이례적인 대응방식이다. 중국 청년망은 “정부가 마지못해 인구 센서스 결과를 발표한 것 같다”고 촌평했다.

베이징= 김광수 특파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